earticle

논문검색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수학교과 인성함양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the Character Education

김현주, 고상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on the 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make the school classroom as a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based on general classes and naturally realize the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A draft of the instructional model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at the factor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could be improved. The toughness index was measured by using the Character Scale for School Mathematics(CSSM)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we completed a P (personal) instruction model and a S (social) instruction model that can enhance the factor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based on the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advisory committee.

한국어

급속한 산업화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교 과수업과 더불어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을 기반으로 학교교실을 민주적 학습공동체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교과교육과 더불어 인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코자 하였다. 수학교과 인성요인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한 후 15차시에 걸쳐 현장적용을 하였다. 현장적용 전·후 양적데이터와 질적데이 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 로 수학교과 인성요인을 함양할 수 있는 P(Personal) 수업모형과 S(Social)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수학에서의 인성교육
2. 수학교과인성
3. 민주적 학습공동체
Ⅲ. 연구방법
1. 문헌연구
2.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예비연구)
3. 현장적합성 검토
4. 전문가협의회
5. 최종개발
Ⅳ. 연구결과
1.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별 접근법
2. P(Personal) 수업모형
3. S(Social) 수업모형
4. 민주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학교과 인성 함양을 위한 수업모형 구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주 Kim, Hyun Joo. 한광여자고등학교
  • 고상숙 Koh, Sang Sook.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