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구약성서와 번역

구약성서시대 문화 이해를 통한 우리말 번역에 대한 제언

원문정보

Suggestions for translating Korean based on understanding of culture in the Old Testament period

임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ebrew of the Old Testament was not a spoken language for a long time, and the constant debate about exactly how to read and to understand it continues to this day. In addition, this language had grown up in the culture and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also in the ancient Near East, so it must be quite unfamiliar to foreign countries. Bible translators who translated Hebrew to Korean in earlier time seemed to have relied on English and Chinese translations when they did not have the appropriate words in Korean, while not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context underlying the many terms and words of the Old Testament. However, English and Chinese also have different backgrounds from the ancient Israel culture, so they could not convey the full meaning of Hebrew.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text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becomes better when we hav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in the ancient culture and customs. This article seek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riginal language rather than our cultural background by selecting some words that have been used so far in the Old Testament and to approach the understanding more properly after considering the customs and ancient culture of Israel. First, we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Bible in which each word appears and examined the meaning and origin of the Hebrew word. Next we looked at the artifacts and cultural conventions of this word found in ancient Israel and the Near East. At the end, new words in Korean have been suggest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words. The chosen words are Joseph 's ‘coat of many colors’, ‘the upper room’ of Elijah, and ‘High places’ destroyed by Hezekiah and Josiah. The 'כְּתֹנֶת פַּסִּים' translated into ‘coat of many colors’ has the meaning of clothes that cover the hands and feet, suggesting ‘a long robe with long or short sleeves’. Joseph’s ‘כְּתֹנֶת פַּסִּים’ would have made his brothers more jealous because such robes were worn by the upper class who did not work. ‘עֲלִיָּה’, which is translated as 'attic', was a space where people reside, meaning ‘second floor room’ in houses of ancient Israel. The fact that Elijah stayed in ‘עֲלִיָּה’at the house of widow at Sarbath means that she did not conceal Elijah in the space like the attic but gave up her place of residence. In addition, when Mark's large attic room of the New Testament is on the second floor, 120 people could gather together to pray in such room. ‘בָּמוֹת’, translated as ‘the High place of moutain gods’, is neither in the mountains nor in the place of the mountain gods. If there is a gateways and houses, and a pavilion where sacrifices can be held everywhere, it can soon become ‘בָּמוֹת’. Therefore, in order to make use of the original meaning of Hebrew, it was suggested to attach a footnote to ‘bamot’, which is a “traditional podium in which sacrifices are placed are performed in ancient Israel and the Near East”.

한국어

구약성경이 기록된 히브리어는 오랜 기간 문서상으로만 존재하는 언어였으며 그나마도 정확히 어떻게 읽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이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더불어 이 언어는 고대 이스라엘, 나아가 고대 근동의 문화와 역사 속에서 성장하였기에 우리에게는 상당히 생소한 세계임에 틀림이 없다. 덕분에 초기 한국어 성경 번역자들은 구약성경의 많은 용어와 단어들의 배경이 되고 있는 문화와 정황을 이해하지 못한 가운데, 우리에게 적당한 단어가 없을 경우 영어나 중국어 번역에 의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영어와 중국어도 역시 고대 이스라엘의 문화와는 다른 배경의 언어이기에 히브리어가 담고 있는 온전한 의미를 전달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 온전한 의미를 파악하게 될 때 신학적 해석의 맥락이 보다 폭 넓어지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고는 구약성서에서 지금까지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었던 몇 가지 단어를 선택하여 우리의 문화적 배경이 아닌 원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스라엘의 관습과 흔적을 고찰한 후 보다 바른 이해에 접근하고자 했다. 먼저 각 단어가 등장하는 성서의 배경을 살펴보고 히브리어 원어의 의미와 기원을 조사했다. 다음으로 고대 이스라엘과 근동에서 발견된 흔적에서 이 단어가 해당되는 유물과 문화적 관습을 살펴 보았다. 마지막에는 우리말로 바른 의미의 단어의 제언을 통해 보다 깊은 성서원문 이해를 돕고자 했다. 선택된 단어는 요셉의 채색 옷, 엘리야의 다락방, 그리고 히스기야와 요시야가 허문 산당이다. 채색 옷으로 번역된 ‘크토넷 파씸’은 손과 발을 가리는 옷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채색 옷 보다는 ‘소매와 단이 긴 옷’으로 제언하였다. 크토넷 파씸은 노동을 하지 않는 상류층 사람이 주로 입는 옷으로 요셉은 형들에게 이집트로 팔려 갈 때도 이 옷을 입고 있어 더욱 질투를 불러 일으켰을 것이다. 다락이라고 번역된 ‘알리야’는 이스라엘의 가옥 구조 상 ‘2층 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이었다. 엘리야가 사르밧 과부의 집에서 ‘알리야’에 머물렀다는 것은 그녀가 엘리야를 다락같은 후미진 공간에 숨겨준 것이 아니라 자신의 거처를 당당하게 내어 주었다는 의미가 된다. 더불어 신약 성서의 마가의 큰 다락방이 2층 방이 되었을 때 120명의 성도가 함께 모여 기도하고 성령세례를 받는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산당’이라고 번역된 ‘바마’는 산에 있지도 않으며 산신을 모시는 장소도 아니다. 성문과 집, 어디에나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연단이 있다면 곧 바마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히브리어 고유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바마’ 로 번역한 후 “고대 근동에서 제물을 놓거나 신상이 올라가 있어 제사를 드리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연단”이라는 각주를 달아 줄 것을 제언하였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연구방법과 연구사
3. 제언
1) 채색 옷
2) 다락
3) 산당
4. 나가면서
5.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미영 MiYoung Im. 서울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