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민 공통 과정 국어 교과서 공감적 듣기 단원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in Korean Language Textbook in Korean Common Curriculum

이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in the speech education, to analyz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e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I’ for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were the Korean common subject in perspective of sympathetic listening’s nature and i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se days when the self-centered tendency valuing ‘me’ more than ‘us’ is overflowing, there is being magnified the importance of ‘sympathy’ caring,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thinking from the other’s viewpoint. The speech education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enabling one to listen to the other’s opinion from his/her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him/her. Unlik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 unit of sympathetic listening in middle school textbook does not fully refect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sympathetic listening’s educational principles as the attitude, the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with follow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d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all five problems were commonly reveal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First, the knowledge of sympathetic listening following its nature was not fully contained in the learning content or was briefly suggested in some abstract shapes. Second, the systemicity and the connectedness in composing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were low. Though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have systematically been connected in order that learners could acquire the knowledge and could perform relevant tasks from the aspects of contents and performance, but middle school textbooks could not suitably compos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Third, though the speech education should lead learners as the education to be specifically used in life, but the learning activities in its unit did not fully reflect a learner’s life context and remained in the technical, stiff activity level. Fourth, for the sympathetic listening, its attitude should be developed prior to the acquisition and performance of its knowledge, but the textbooks did not contain any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related to the attitude for sympathetic listening. Fifth,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ts dealing sympathetic speech mainly dealt the speech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problems analyzed so,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reflecting from its educ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templated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s importance and necessity in the speech education, and set its educational principles reflect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concerning the problems found from the analysi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 적 듣기의 본질과 교육 원리에 비추어 국민 공통 과정인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Ⅰ’교과서의 공감적 듣기 단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 해보는 데 있다. ‘우리’보다 ‘나’를 중시하는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팽배해지는 오늘날 상 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상대방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공감’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감력’을 바탕으로 상대의 관점에서 경청하며 상대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공감적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화법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였다.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중등교과서에 실린 공감적 듣기 단원 은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공감적 듣 기의 본질에 비추어 교육 원리를 태도, 지식, 수행으로 설정하여 중등교과 서를 분석해보았다. 중등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감적 듣기의 본질에 따른 지식이 학습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거나 추상적인 형태로 간략 하게 제시되어 있다. 둘째, 공감적 듣기 단원 구성의 체계성과 연계성이 낮다. 학습 내용과 학 습 활동이 내용과 수행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관한 수행을 할 수 있게끔 그 구성이 짜임새 있게 연계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 하고 적절한 단원 구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셋째, 화법교육은 삶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으로 학습자를 이끌어야 하는데 단원의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 지 못하고 기술적이고 경직된 차원의 활동으로 그쳤다. 넷째, 공감적 듣기는 지식의 습득과 수행에 앞서 태도가 함양되어야 함 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는 태도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이 제시되 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공감적 화법을 다루는 단원에서 듣기보다 말하기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렇게 분석된 문제점을 바탕으 로 공감적 듣기의 교육 원리에 비추어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는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 고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반영한 교육 원리를 설정하여 중등교과서를 분석 하고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공감적 듣기 단원 분석과 문제점
4. 공감적 듣기 단원의 개선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숙현 Lee, Suk-hyeon.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