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Exploration o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Berlin and Brandenburg, German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um of Berlin and Brandenburg in Germany which shares the trend of the competence and strand-based curriculum. This trend is the same as in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2015 in Korea.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German curriculum are similar to the curriculum in Korea in that the revision and the application period as well as the pursuing direction of the curriculum are close to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German curriculum and fi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the German curriculum has a more concrete structure of competence than Korea does.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ompetence and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econd, Germany selects the topics based on the issues of modern society, while Korea designs the subject content grounded in the academic foundation. Third, in order to maintain the sequence in Germany, 5th and 6th grades serve as a bridge grade, connect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on the sequence of contents and competence, constructing the curriculum of the topicoriented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독일 베를린과 브란덴브르크 주의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독일 교육과정을 선정한 이유는 개정 시기와 적용시기가 우리 나라 와 근접하고, 총론과 각론의 구성이라는 측면과 역량 기반 교육과정, 그리고 우리 나라 핵심 개념에 해당하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 교육과정과 유사한 점을 지녔기 때문이다. 독 일 교육과정의 구조와 그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 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 고자 하였다. 구조적인 측면과 내용 제시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독일 교육과정은 역량이 우리 나라 에 비해 구체화되어 있으며 총론에서 제시된 역량과 교과 역량간의 연계성이 강하였다. 둘째, 독일의 경우 주 제를 선정함에 있어 현대 사회의 문제나 이슈를 중심으로 주제를 선정한 반면, 우리 나라는 학문적 기반을 유 지하며 사회 모습을 담아내는 주제를 설정하려고 하였다. 셋째, 독일의 경우 내용 계열성을 유지하기 위해 5-6 학년 사회과 내용이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판단해 보건데, 역량 함양 및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있어 역량과 주제 선정에 대해 어느 부분에 좀 더 방점을 둘 것인지에 대 한 과감한 결단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I. 들어가기
II. 독일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특징
1. 독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2. 독일 교육과정의 특징
III. 독일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1. 통합 교과(1-4학년)
2. 사회 과학(5-6학년)
IV. 나가기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