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s’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in Science. Utilizing 2015 survey results of 875 Science teachers and the Science achievements of 4,243 secondary students from 「PISA 2015 」Scienc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edi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We foun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was appropriate. In addition, while teacher collaboration influenced teachers’ efficacy, it did not have an impact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Nevertheless, teachers' efficacy mediated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drew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특히, 과학 교과에 관심을 가지고 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 다. 이를 위해 과학을 주영역으로 하여 과학 교사만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을 진행한 PISA 2015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과학 교사 875명의 설문 응답 자료와 학생 4,243명의 성취도 검사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매개 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 교사 협력, 교사효능감, 학생의 과학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변인 간 영향 관계에 있어서 과학 교사 협력은 교사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학생의 과학 성취도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셋째, 과학 교사의 협력은 교사효능감이 매개했을 때는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 사 협력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특히 과학 교과에서 교사 협력이 학생의 성 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 혀냈다는 데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사 협력 및 교사효능감 증진 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협력의 개념 및 구성요소
2.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구성요인
3. 학업성취도 개념 및 영향요인과 PISA 과학성취도의 구성
4.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분석 문항
3. 연구 모형
4.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변인의 기초통계치와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
3. 과학교사 협력, 교사효능감, 학생의 과학 성취도의 관계 및 직·간접 효과 분석
4. 종합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