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놀이 문화로서 줄다리기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

원문정보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ble Plans of the Juldarigi as a Play Culture

변미혜, 한윤이, 김아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국악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2018.08 pp.49-87

doi:10.31177/SSKME.2018.12.2.0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uldarigi(Tugging Rituals and Games), as comprehensive cultural artwork that integrates play, culture, and music, is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and is considered as daedong(大同)-nori in which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participate. As previous studies on Juldarigi typically focused on play from a perspective of physical education, research approaches to teaching Juldarigi as a whole including play, culture, and music are insufficient. Hence, the current study examine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Juldarigi as a play culture that integrated its cultural, playful and musical elements. Based on that examination, it sought specific teaching plans for curriculum integration and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the real practice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ncourage students to properly recognize the values of the play culture such as Juldarigi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o take pride in Korean culture.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Juldarigi,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cultural values of Juldarigi, the rules and the music.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Juldarigi is suitable for cultural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 localization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and can be taught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is natur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study searched for educationally applicable ways and provided teaching plans through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teaching plans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 the use of ‘Youngsan Juldarigi,’ the rationales behind the curriculum were first analyzed so as to teach culture, history, music, and play centered on the subjects of social studie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in an integrative manner. Afterward, the instructional cont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grounds, and specific teaching plans were designe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ere designed to explore and experience local cultural assets by using ‘gamnae gejuldanggigi’ (tugging crab-shaped ropes).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plans of the study will help students properly recognize the values of Juldarigi as a culture, develop a sense of cultural community, and take pride in local cultur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 like this could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play culture and revitalize it in school education.

한국어

줄다리기는 문화․놀이․음악 등이 통합된 총체적 문화 예술로서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되어 있고 남녀노소가 함께 참여하는 대동놀이다. 줄다리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놀이를 중심으로 체육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문화․놀이․음악을 총체적으로 지도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줄다리기의 문화적․놀이적․음악적 요소를 통합한 놀이 문화로서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교육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과 통합 지도방안과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줄다리기와 같은 놀이 문화의 가치를 학교 교육을 통해 제대로 인식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데 두었다. 먼저 줄다리기의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기 위해 줄다리기의 놀이 문화적 가치, 줄다리기의 놀이 양상, 줄다리기 음악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줄다리기는 문화교육, 통합교육, 지역화 교육, 인성교육에 적합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인 역량 함양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를 토대로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는데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교과에서는 통합적 성격을 반영한 교과 통합 지도방안을 마련하였고, 창의적 체험활동에서는 지역 문화 탐구를 주제로 한 체험활동 지도방안을 수립하였다. 교과 통합 지도방안은 ‘영산 줄다리기’를 활용하여 사회, 음악, 체육 교과 중심의 문화, 역사, 음악, 놀이 등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지도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감내 게줄당기기’를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재를 탐구하고 체험하는 활동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지도방안은 문화로서 줄다리기의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문화적 공동체 의식과 지역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놀이 문화 교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안하고 학교 교육에 우리나라 세시놀이를 활용한 놀이 문화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목차

Ⅰ. 서론
 Ⅱ. 줄다리기의 놀이 문화 고찰
 Ⅲ. 줄다리기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변미혜 Byun, Mi-Hye.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 한윤이 Han, Yun-Yi. 대전태평초등학교 교사
  • 김아현 Kim, A-Hyun. 대전상대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