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Maker Education Theory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김용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maker education theory which is emerging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cent year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maker education is the "on-line and off-line" digital knowledge creation, ICT related knowledge, content and method of making real world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self-initiative, fusion and complex thinking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mal education and non-formal education that can lead to various problem-solving methods by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practical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in maker space equipped with tools ". The maker education was very similar to the philosophical orientation point,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education metho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so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very appropriate to apply to the elementary arts of maker education theory. However, limitations are also found in the number of education hours allocated, the quality level of the manufacturer space environment,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structor, and the attitude of the manufacturer.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ase of maker education class through the elementary classroom, case study of maker space structure, development of elementary classroom instruction model for maker education, linkage with club activities, linkage with free school term will be.

한국어

이 연구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급부상하고 있는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 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문헌 고찰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문헌 고찰 결과, 메이커교육은 “메이커의 자기주도성, 융·복합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을 함양시킬 목적으로 실세계(real world)의 만들기 및 ICT 관련 지식·내용·방법을 온·오프라인 디지털 도구들이 갖추어진 메이커스 페이스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게 하는 교육” 으로 정의하였다. 메이커교육은 초등실과의 철학적 지향점,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환경과 매 우 유사하므로,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다 만, 배정된 교육 시수, 메이커스페이스 환경의 질적 수준, 지도교사의 전문성, 메이커의 자세 등에 서는 한계점도 발견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초등실과를 통한 메이커교육 수업사례 운영, 내실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사례, 메이커교육을 위한 초등실과 수업모형 개발 연구, 동아리 활동과의 연계 방안, 자유학기제와 연계 방안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Ⅱ. 메이커교육 관련 선행 연구 분석
  1. 석·박사 학위 논문
  2. 국내 학술지 발표 논문 및 출간 도서
 Ⅲ. 메이커교육의 개념
  1. 메이커, 메이커 운동
  2. 메이커교육의 개념
 Ⅳ.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 및 한계
  1.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
  2.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에 따른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용익 Kim, Yong-Ik.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