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Fourth curriculum Four main drama piece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and gesture language are stronger than the character language, conflict expression through dialogue between characters, and frequent use of song and dance. In addition, we have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works have been reduced considering the textbook system and textbook production conditions, and we have also confirmed that the textbooks and vocabulary were modified in a hierarchical manner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ers who are studying the plays. The Jupyeong plays in the textbooks were further adapted to the drama by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first song and dance track, it control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haracters, and the Secondly, in the system of the drama unit and the study of the main text, the learning activity centered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as designed to further clarif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designing drama textbooks that emphasiz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the elementary languag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희곡 텍스트의 교과서 수록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주평의 희곡에서 찾으려고 한다. 제4차 교육과정 초등국어 교과서에 실린 주평의 희곡을 분석하였는데, 우리나라 아동극교육의 역사 속 에서 이 시기에 희곡교육이 가장 활발하였고, 그 중심에 있었던 것이 주평의 희곡이며, 희곡 텍스트를 교과서에 수록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양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4차 교육과정 초등국어 교과서에 실린 주평의 희곡 4편을 원작과 견주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평 희곡이 문자언어보다는 음성언어나 몸짓언어적인 특성이 강하고, 인물 사이의 대화를 통한 갈등 표출, 그리고 노래와 춤을 자주 활용하는 등 연행성을 더 강화한다는 사실을 구명하였다. 이와 함께 교 과서 체계와 교과서 제작 여건을 고려하여 원작 내용을 축소한 점도 발견하였고, 희곡을 공부하는 학습 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대사와 어휘 등도 위계적으로 수정한 점도 고찰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주평 희곡은 희곡 각색 외에도 교육 활동을 통해 연행성을 더 활성화하였다. 첫째 노래 와 춤 대목은 물론 등장인물의 증감을 조절하는 등 ‘연행 요소’를 조절하여 연행성을 강화하였다. 둘째 희곡 단원의 ‘체계’와 ‘본문 공부’에서도 ‘연행성 중심의 학습 활동’을 설계하여 희곡의 연행성을 더욱 구체화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국어에 연행성을 강조하는 희곡 교과서를 설계할 때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자료와 연행성의 개념
1. 연구자료
2. 연행성의 개념
Ⅲ. 교과서 수록 양상 분석
1. 연행성 강화
2. 희곡 내용의 축소
3. 희곡 내용의 위계화
Ⅳ. 주평 희곡의 연행성 활성화 방안
1. 연행 요소의 중요성 인식
2. 연행성 중심의 학습 활동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