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터넷을 통한 학교경제교육 관련기관의 '경제교육 자료' 실태 분석

원문정보

The Analysis On The Economy Education Materials In The School Economy Education-Related Public Center

최병모, 김정호, 전희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conomy Education Materials In The School Economy Education-Related Public Center has been analyzed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comparatively analyzing Economy Education Materials between School Economy Education-Related Public Center, to make a contribution to build-up the economy-related curriculum foundation in Korean Economy Education. findings from this studies are as follow. firstly, a number of economy-related education materail must be prepare to use by all the teacher and student of the school in the economy-related public center Secondly, not only material of economy education on content, but also many materials of economy education on the purpo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ust be arranged within the public center and office of education. Thirdly, a number of economy-related materials in the public center and the office of education must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Fourthly, economy-related education materail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had better get rid of regional disparity. In conclusion, various economy-related education resource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and student must be arranged the school economy education-related public center.

한국어

본 논문은 학교경제교육을 위하여 관련기관이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는 ‘경제교육 자료’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분석점검하고 연구결과를 기초로 학교경제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관련기관의 경제교육자료 배치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먼저, 경제교육 관련기관이 비치하고 있는 전체 경제교육 자료건수는 아직 대단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경제교육 관련기관은 교사 및 학생을 위한 자료를 고루 확보하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경제교육내용자료 이외에 평가, 목표, 방법을 안내하는 자료도 비중 있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넷째로, 중고등학교를 위한 경제교육 자료뿐만 초등학교용 자료도 고르게 배치되어야 한다. 다섯째로, 해당교육청에서는 각급학교용 경제교육자료 건수에 있어서 지역간에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할 것이 요구된다. 여섯째로, 관련 기관에서는 지역경제 및 지식기반경제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교사중심, 내용중심의 자료제공으로부터 탈피하고, 학생용 자료와 지역경제자료 건수를 늘리며, 학교 급 별 자료건 수의 균형을 이룰 것과, 전국 시도교육청간 자료격차를 줄일 수 있어야한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자료실의 겉모습이 아니라, 그 자료실에 학생과 교사가 경제교육 실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풍요로운 자료를 비치하는 것에 있고, 그 것을 내실 있게 활용하는 방법의 모색에 있다고 보여 진다.

목차

1.들어가며
2.학교경제교육에 있어서 '자료'의 의의와 분석기준
3.경제교육 관련기관의 자료현황 분석 및 논의
4.나오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병모 Byung-Mo Choi.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 김정호 Jeong-Ho Kim.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기획실장
  • 전희옥 Hee-Ok Jun. 한국교원대학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