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el for Using Digital Textbook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초록
영어
Digital textbooks enable learning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learners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that can more effectively use digital textbook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struction model for helping learners complete their learning by using digital textbooks needs to receive diagnostic assessment and feedback on entry behavior, to build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interact with teachers, students, and digital textbooks as scaffold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struction model using digital textbooks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 The instructional model consists of preparation, practice and solidity step. In the preparation step, the learner performs a diagnostic evaluation us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feedback provided at each level can complement the entry behavior and maintain interest in learning activities. In the practice step, self-directed learning is implemented using divers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and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solidity step,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learning contents by reviewing video clips which are provided by teachers, performing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accessing outcomes accumulated by learners in the community onlin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we selected the "Weather and our Life" uni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01 students in the 5th grade in B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50 students learned using a smart device that embodies digital textbooks applied with the instruction model. In the comparative group, 51 students were taught using the paper text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low academic ability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with low academic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number of interactions with the learner, teacher, and digital textbook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instruction model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developed in this study helped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한국어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 자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 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율을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완결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수업모형은 출발점 행동 진단과 피 드백,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구축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교사, 학생,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 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 서 활용 수업모형은 준비단계, 실행단계, 다지기단 계로 구성하였다. 준비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 과서를 이용한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준별 피드백 자료를 통해 출발점 행동을 보완하 고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한다. 실행단계에 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의 다양한 기능과 여러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다지기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구성한 다지기 영상 및 다지기 문제 풀이 활동 그리고 학습 자가 커뮤니티에 누적해 놓은 결과물을 재확인함으 로써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개발한 수업모 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등 과학 5학년 2학 기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 50명에게는 개별적으로 스마 트기기를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51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 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학업 능력이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 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 업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 율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 다 학습자, 교사,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 횟수 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 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학 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2.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효과 검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2.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효과 검정
3. 상호작용 유형과 횟수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