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Wage Level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rust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wage level on turnover intention of new employees and proposed the hypothesis that trust which has been experienced in the organization could alleviate these effects. Specifically, the concept of trust was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trust, coworker trust, and supervisor trust and each effect of trust was explor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total of 502 new employees who have the tenure between 1 year and 3 years in about 300 companies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total of 502 new employee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final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main effec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wage level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trust was significan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coworker trust and supervisor trust had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wage level and turnover intention.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노동시장에서 신입사원의 조기퇴사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원인은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와 급여 불만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동시장의 흐름에 대해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직무만족과 임금수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효과를 조직에서 경험하는 신뢰가 약화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신뢰는 조직신뢰, 동료신뢰, 상사신뢰로 구분하여 각각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해 약 300개 기업에서 입사한지 1년 이상 3년 미만의 신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02명의 신입사원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효과 결과는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임금수준 또한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결과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동료신뢰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임금수준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동료신뢰와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2.1 신입사원의 이직
2.2 임금수준과 이직의도
2.3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2.4 신뢰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3.1 표본의 구성 및 자료수집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Ⅳ.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2 주효과 검증
4.3 조절효과 검증
Ⅴ. 결론
5.1 연구 결과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