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타픽션(Metafiction) 그림책의 맥락화 읽기 - 에밀리 그래빗의『Wolves』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ading the Contextualization of Metafiction Picturebook - Focused on Emily Gravett’s <Wolves> -

이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picturebooks are only a short history of academic discourse, they have been seriously researched in a form of visual art, including a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art, which combines text and image with a unique art form. There are ambiguous provisions of the comprehensive part of the reader, but the picturebook embossed as a form of art, and has been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 through various discussions and attempts.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tial concept of picturebook, which analyzes the powerful post modern features of literature and art, and examines the rhetorical strategy of metafiction that is controversial beyond conventional limitations of picturebook. The metafictive characteristic incorporate new forms and experimental qualities that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ple layers, generating a deeply remarkable issues in depth. In this sense, the Wolves leads readers to the world of experiences by asking question to present multiple conclusions with unique features in metaphorical form. Wolves are antiauthority and unconventional, and enabling multi-layered imagination. The imagination has the most closely connected viewpoints of metafiction and invites readers to play in the same way as games on this complicated level of visual arts experimentation. These multiplicational and non-fixed codes naturally induce interaction with the reader and have a paradigm that understands a broader perspective and in-depth structure. This experience can go beyond aesthetic experiments and have the significance of forming values for new attributes and deformability. I intend to approach this study with hope that will act as an essential tool of art which bring forth active discourse with the experimentation of new perspectives. Therefore It will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nd play the viewpoint and context of the world of picturebook as artistic play.

한국어

그림책이 학문적 담론으로 부상한지는 40여년의 짧은 역사에 불과하지만, 문장과 그림을 조합한 특별한 예술형식으로서의 다층적인 해석을 포함하며 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진지하게 연구되어왔다. 독자 대상의 포괄성 부분에 대한 모호한 규정이 있지만 그림책은 예술의 한 형태로서 부각되어 다양한 논의와 시도를 통해 그림책의 특성과 형식을 규명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문학과 예술의 강력한 포스트 모던적 특징을 압축한 메타픽션의 수사적 전략과, 관습적 한계를 넘어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를 분석하면서 그림책의 본질적 개념과 관통하는 관점들을 살펴 보고자한다. 메타픽션적 특성은 새로운 양식과 실험성을 도입하여 여러 층위의 해석을 확장시키며 깊이 있게 주목할 만한 쟁점을 복합적으로 발생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에밀리 그래빗의 『늑대들』(wolves)은 메타픽션적인 형식의 독특한 특징을 갖추고 복수 결말을 제시하는 등 독자들에게 질문하고 의문을 던지게 하는 경험의 세계로 인도한다. 또한 반권위적이며 관습적 방식을 벗어나 다층적 상상력을 발동시킨다. 이 상상력은 메타픽션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는 관점을 갖기도 하며 이러한 복잡한 층위의 시각예술 실험에 게임과도 같은 방식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고정되지 않고 변주되는 이러한 다층적 코드들은 독자와의 상호 작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폭넓은 관점과 심층적 구조를 이해하는 패러다임을 갖게 한다. 그리하여 더욱 그림책의 경험을 미적 실험을 넘어 새로운 속성과 변형성에 대한 가치관을 깊게 형성하게 하는 의의를 두고 있다. 새로운 관점의 도입과 실험으로 적극적인 담화를 끌어 들이며 삶과 세계가 담긴 그림책의 관점과 맥락을 놀이처럼 이해하게 되는 예술의 본질적 도구로써 작동되기를 바라며 이 연구에 접근해 보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고찰
  2.1. 메타픽션 이론들
  2.2. 메타픽션 장치의 기능
  2.3. 메타픽션 서사와 특성
 3. 에밀리 그래빗의『늑대들』(Wolves) 그림책분석
  3.1. 『늑대들』의 메타픽션 맥락화
  3.2. 메타픽션 능동적 읽기와 경계넘기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지선 Lee, Jisun.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