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고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o clarify the validit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rom a pedagogical point of view.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this study was largely developed through three processes. First, It was analyzed the meaning of competency as a new educational situa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praxiological knowledge and competence in practical education. Third, It was set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The value orientation of praxiological knowledg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derived from the final conclusions of this study was participative citizenship, strong subjectivity, sustainable practice and creative innovation. Each value orientation has the following meanings. Participative citizenship: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the basic functions of life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have been set up and understood as basic skill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democratic society. Strong subjectivity: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the health of the relationship based on rational communication is formed and the voluntary and subjective person needed for democratic civil society is educated. Sustainable practice: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emphasized the meaning of knowledge as a practical act to practice sustainable life in daily life. Creative innovation: It was set in the sense that the creative innovation of society based on thinking ability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design ability, invention thinking, and creativity.

한국어

이 연구는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 설정을 통해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실과 교육의 정당성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은 크게 3가지 과정을 거쳐 설정되었다. 먼저 새로운 교육 사태로서 역량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의미와 역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최종 결론으로 도출 된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은 참여적 시민성, 건강한 주체성, 창조적 혁신, 지속 가능의 실천이었다. 각각의 지향성은 다음과 같은 설정 근거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참여적 시민성은 민주 사회에서 시민이 가져야할 기초적 소양으로 생활의 필요한 기초적 기능, 문제 사태 해결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둘째, 건강한 주체성은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관계의 건강성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민주시민사회에 필요한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셋째, 지속 가능의 실천은 생활 속에서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하기 위한 실질적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넷째, 창조적 혁신은 문제해결능력, 설계능력, 발명사고, 창의성 같은 사고 능력을 기반으로 사회의 창조적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정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연구의 방법
 Ⅱ. 새로운 교육사태: 역량
  1. 역량의 도입
  2. 지식의 관점에서 본 역량
 Ⅲ. 실과교육에서의 하는 지식과 역량
  1.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의미
  2.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과 역량의 관련성
 Ⅳ.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
  1.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구조화
  2.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 설정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인규 Go, In-Gyu. 세종시 교육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