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기하는 새로운 교사교육의 필요성 :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나’의 이야기에 대한 성찰적 분석

원문정보

Rethinking Teacher Preparation through Disability Studies in Education : Reflexive Analysis of My Subjective Experiences as a Pre-service Teacher, Teacher, and Teacher Educator

엄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question the current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preparing teachers. This autobiographic narrative inquiry presents three stories based on my subjective experiences as a pre-service teacher, teacher, and teacher educator. By analyzing the stories through a lens of Disability Studies in Education, I interrogate how my "personal" experiences were discursively constituted and interpreted in particular historical, cultural,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s. I discuss some issues presented in the stories. First, I raise questions about curricular decision-making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 discuss what consequences it might have to exclude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special education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 discuss abou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the opportunities to unlearn the "common-sense" belief and knowledge about disability. Third, I discuss roles of teacher educators to work against and within the system so that we can better prepare teacher candidates to reach and teach all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장애교육학의 관점에서 한국의 현 교사교육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새로운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초등 및 특수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연구자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러한 ‘개인적’ 경험들이 어떻게 역사적,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인 여러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 본인의 이야기 속에 드러나는 현 교사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 첫 번째, 대부분의 특수교육관련 과목들이 장애에 대한 지식과 사회의 지배적 이념과의 관련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음으로써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 장애교육학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이 사회에서 평생을 살아오며 무의식적으로 갖게 된 장애에 대한 ‘상식’에 대해 탈 학습(unlearning) 할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세 번째, 현 학교 체계를 구성하는 지배담론이 특정 학생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항해야하기 위한 교사 양성 기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2.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나’
  3. 자료 수집 및 분석
  4. 연구 결과 제시 방법
 III. 나의 이야기, 그리고 성찰적 분석
  1. 첫 번째 이야기: 특수교육학개론
  2. 두 번째 이야기: ‘상식’에 대한 탈학습(unlearning)
  3. 세 번째 이야기: 특수교육학의 새로운 번역(translation)
 IV. 모든 학생을 위한 교사교육을 지향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수정 Um, Su Jun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