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규모횡단 코퍼스에서 보이는 일본어학습자의 중간언어에 관한 비교연구 ─ 접속조사「から・ので」의 습득과정에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양상 ─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about the intermediate language of the Japanese learner seen in a large-scale crossing corpus ─ focus on the intermediate language that an acquisition process of “Kara” and “Node” ─

윤상한, 최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analyzed this study from an item located about an intermediate language to appear in the acquisition process of “Kara” and “Node” of the Japanese learner who varied in mother tongue forward, a tendency of the misuse, three sides of the writing sty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use of “Kara” and “Node” of the Japanese learner is carried out around “Kara”, and use of “Node” increases as a learning level rises. It is thought that the strategies that are going to evade an intermediate language, misuse lump expression of the learner positively influence it here. (2) Most of the legal misuse for the meaning is not seen, and an avoidable substitute grammar item exists in a point that misuse by the form to be connected occupies most of, the acquisition of “Kara” and “Node”, and characteristics to emerge for misuse of “Kara” and “Node” include the point where misuse is hard to relatively in comparison with other grammar items appear because the substitution between two items is possible. (3) In the side of the writing style of the sentence that “Kara” and “Node” was used for, use in the form of “Node → plain style” was seen “Kara → formal style” unlike a precedent study. “Desukara” of the conjunction hardens for a learner, and this is made a fixed form as expression, and this is because it is just used in the sentence, and the possibility that I am used as evasion means of the misuse is thought about. (4)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 form to connect with “kara” and “Node”, in the case of “Kara,” form and the tendency that I connected were strong, and there was relatively little connection with the “I-for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de,” there were the most cases to connect with “Ru-form and Ta-form”. It is thought that the lump by the learner is formed to a learner from such a result in each item. (5) A wide margin is not seen according to a language type, and, as for the tendency to these use, as for the intermediate language strategies such as the unit formation of the learner, it is thought that the formation is used regardless of mother tongue relatively and universally.

한국어

본 연구는 모어가 다른 일본어학습자들의 접속조사 「から」와 「ので」의 습득과정에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양상에 대해 두 가지 접속조사의 사용기준을 전항에 접속하는 항목과의 접속형태, 오용경향, 문체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밝혀진 일본어학습자의 접속조사 「から・ので」의 습득경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어학습자의 「から・ので」는 「から」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학습레벨이 올라갈수록 「ので」의 사용이 늘어난다. 여기에는 학습자들의 덩어리 표현이라는 중간언어, 오용의 적극적인 회피전략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から・ので」의 오용에 나타나는 특징으로서 의미용법 상의 오용이 거의 없고, 접속하는 형태에 의한 오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 「から・ので」의 습득에 있어 회피가능한 대체문법항목이 존재하고, 두 가지 항목 사이의 치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 문법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용이 적게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3) 「から・ので」가 사용된 문의 문체적 측면에서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から→정중체」, 「ので→보통체」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에게 있어 접속사 「ですから」가 덩어리 표현으로 정형화되어 있어 문중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으며, 이것이 오용의 회피수단으로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4) 「から・ので」에 접속하는 형식을 분석한 결과, 「から」의 경우 ル형식과 접속하고 있는 경향이 강하며, 상대적으로 イ형식과의 접속이 적고, 「ので」의 경우 ル형식과 접속하는 수가 가장 많았으나 그 수는 タ형식과의 접속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から」의 경우, 학습자에게 「だから」라고 하는 덩어리가 가장 강하게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ので」의 경우는 「なので」, 「たので」라는 덩어리가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5) 위와 같은 사용경향은 언어유형별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이러한 학습자들의 유니트 형성 등의 중간언어 전략이 모어와 상관없이 비교적 보편적으로 형성되고 사용됨을 나타내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일본어

本研究は、母語の異なる日本語学習者の接続助詞「から」と「ので」の習得過程に現われる中間言語の様相について、前接する項目との接続、誤用の傾向、文体という3つの側面から分析したものである。分析の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1)日本語学習者の「から・ので」の使用は、「から」を中心に行われ、学習レベルが上がるにつれ 「ので」の使用が増える。ここには学習者の固まり表現という中間言語、誤用を積極的に回避しようとする戦略などが影響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 (2)「から・ので」の誤用に現われる特徴として、意味用法的な誤用はほとんど見られず、接続する形による誤用が大半を占めるという点、「から・ので」の習得において回避可能な代替文法項目が存在し、二つの項目の間の置き換えが可能であるために他の文法項目に比べ、比較的に誤用が現われ難い点が挙げられる。 (3)「から・ので」が使われた文の文体的側面においては、先行研究と異なり、「から→丁寧体」、「ので→普通体」の形での使用が見られた。これは学習者にとって接続詞の「ですから」が固まり表現として定形化され、文中においてもそれがそのまま使われるためであるとともに、誤用の回避手段としても用いられる可能性などが考えられる。 (4)「から・ので」に接続する形式を分析した結果、「から」の場合はル形式と接続している傾向が強く、比較的にイ形式との接続が少なかった。一方で「ので」の場合は、ル形式とタ形式に接続する場合が最も多かった。このような結果から、それぞれの項目に学習者に学習者による固まりが形成されていることが考えられる。 (5)以上のような使用傾向は、言語類型別に大差が見られず、学習者のユニット形成などの中間言語戦略は母語と関係なく比較的かつ普遍的に形成・使用されていると考えられる。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본 연구의 과제
 Ⅲ. 분석의 개요
 Ⅳ. 분석 및 고찰
 Ⅴ.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윤상한 Yoon Sanghan. 부산경상대학교 관광일어과 조교수, 일본어학 전공
  • 최연주 동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강사, 일본어교육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