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국의 축(柷)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

원문정보

A Comprehensive Study on Chuk(柷)

문주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陰陽五行) inherent in ‘Chuk’(柷, a wooden box through with a wooden hammer), which is considered a musical instrument played to signal the beginning of music, and what it is symbolically used for. Utilizing various literature and images from royal protocol books to the modern photographic materials, I have examined the conformation of this instrument and the aspect of changes in its playing styles. To summarize what has been found from this study: First, the letter ‘Chuk’, which is its name, connotes the beginning, the first, the east, spring, life, while the letter ‘ji(止)’, which indicates the hammer to play with, connotes being on alert against losing of self-control once they begin playing music. Second, the numerical data relevant to the size of the instrument revealed in Akgi(樂記, Record of Music; a chapter of Book of Rites), Songsa(宋史, History of Song), Akseo(樂書, Book of Music), Siak hwaseong(詩樂和聲, A Comprehensive Book of Music), Jeungbo munheon bigo(增補文獻備考, Th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Comparative Review of Records and Documents), and an appeal made by Park Yeon(朴堧, 1378~1458)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ose in Akhakqwebeom(樂學軌範, Musical Encyclopedia). Third, there were changes in the figures of ‘Chuk’, the wooden box and ‘ji’, the hammer in different times. There are two types of ‘Chuk’. One has a hole on one side while the other has in the middle. The figure of the hammer have gone through changes from the image of ‘⊥’ into the image of ‘∣’. It is in the shape of a short and hard club today. Fourth,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co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wooden box with the hammer and the changes in its playing styles. The idea that the different positions of its hole could have influenced the playing positions of the player led to a finding that the player struck the bottom of the wooden box once and the sides twice with the hammer when the wooden box was in the shape of ‘⊥’, while this playing style changed into which the player struck loudly the bottom of the wooden box once and gently twice with the hammer when the wooden box was in the shape of ‘∣’. Fifth, the study pointed out some issues related to erroneous recognition of the wooden box, such as the protective iron covers, the use of color, and the patterns used to decorate with. Sixth, it is found that the changes of its playing style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playing style of eung(應, a retangular cylinder-shaped wooden instrument) which was played in response to jingo(晉鼓, a big barrel-shaped drum).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Chuk’ which is used to signal the musicians to begin playing music, in addition to implicit in its appear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음악을 시작할 때 연주하는 악기로 인식되고 있는 ‘축’에 내포된 음양오행과 악기의 상징성을 문헌 자료를 통하여 이해하고자하였으며, 각종 문헌자료와 의궤에 나타난 도상자료와 근대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악기형태와 연주방법의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柷)의 글자에는 시작, 처음, 동쪽, 봄, 생명 등의 의미가 내포되어있으며, 지(止)에는 음악을 시작하되 절제를 잃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계의 의미가 있다. 둘째, 『악기』․『송사』․『악서』․『시악화성』․『증보문헌비고』 등의 자료와 박연의 상소문에 기재된 ‘축’의 수치와 『악학궤범』의 수치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축’과 ‘지’의 시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축’의 외형은 옆면에 구멍이 있는 것과 윗면 가운데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지’의 형상이 ‘⊥’에서 ‘∣’로 변화하였다. 현재 ‘지’의 외형은 짤막하고 단단한 몽둥이 형태이다. 넷째, ‘축’과 ‘지’의 악기외형 변화와 연주방법의 변화에 관한 상관성을 제시하였다. ‘축’ 옆면에 구멍이 있는 경우와 윗면에 구멍이 있는 경우 연주자의 연주자세 변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지’가 ‘⊥’형상일 경우는 ‘축’의 밑바닥을 한번 내리치고, 좌우를 두 번 치는 것에서 일자형일 경우는 수직으로 바닥면을 세게 한번 내리치고 약하게 두 번 수직으로 내리치는 방법으로 변화하였다. 다섯째, ‘축’에 부착된 보호철판이 ‘축’의 문양으로 인식하는 사례와 ‘축’의 외면에 푸른색이 아닌 흰색, 민트색 등이 사용되는 오류 그리고 산수와 초목 대신에 꽃문양과 소나무를 그리는 사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축’의 연주방법의 변화는 ‘응’이 북소리에 호응하여 바닥면을 치는 것과 ‘축’의 ‘고축삼성(鼓柷三聲)’ 연주형태와 비교하여 상호 연관성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축’의 의미와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악기의 실체적 모습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음양오행과 악기의 상징성
 Ⅱ. 악기형태와 연주방법의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주석 Moon, Joo Seok.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