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치적 대화 채널로서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숙의적 효과 : 의견의 질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eliberative Effects of Curating Journalism as a Channel of Political Conversation : Focused on Opinion Qual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김동윤, 정아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s of public sphere of curating journalism as a channel of political conversation. For this, empirical approach was applied to the communicative effects to se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nner of reading and writing, opinion qual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curating journalism mediated communication.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nalytic reading and writing improved opinion quality of the users. This means ‘How to read and write?’ is much more important factors in improvement of following communicative effects. Next, the manner of writing of curating journalism was more predictive on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f users compared with the reading behavior. This implies the writing of higher involvement i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mechanism of higher political participation. Finally, opinion quality acquired from the uses of curating journalism somewhat affected to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Especially, the prediction power of opinion sophistication was higher than other variables composed of opinion quality, and thi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can be improved when the users can construct their higher level of belief system on the agendas and issues. We could conclude that the possibility of news media as the political deliberation of curating journalism can be positively inferred.

한국어

이 연구는 큐레이팅 저널리즘이 정치적 대화 채널로서 숙의적 공론장 활성화에 가지는 역할과 의미를 검토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큐레이팅 저널리즘 매개 의사소통 의 주요한 수단인 읽기와 쓰기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의견의 질(인지적 차원)과 정치참여(행 동적 차원)에 초점을 두고 실증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먼저, 큐레이팅 저널리즘을 분석적으로 읽고 쓰는 이용자의 ‘의견의 질’은 훑어 읽고 쓰는 이용자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의에 따른 인지적 효과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행위 자체 보다는 ‘어떻게 읽고 쓰는가’에 주목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큐레이팅 저널리즘 읽기 행위보다 쓰기 행위가 온, 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관여적 읽기 행위에 견주어 쓰기 중심의 고관여적 의사소통이 정치참여 기제로서 더 큰 의미와 비중을 가진다는 것을 말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큐레이팅 저널리즘 이용을 통해 획득된 ‘의견의 질’이 온, 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의견의 질’의 개념적 지표 가운데, ‘의견정교화’의 설명력과 예측력이 높았는데, 이용자 스스로가 해당 쟁점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신념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때 정치참여 수준도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정치적 숙의 채널로서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미디어적 가능성을 상당 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논의
  1) 정치 숙의와 의견의 질 그리고 정치참여
  2) 큐레이팅 저널리즘 효과: 읽기와 쓰기 그리고 그 방식
  3) 큐레이팅 이용에 따른 의견의 질과 정치참여
 3. 연구 방법
  1) 온라인 조사 절차 및 자료수집
  2) 주요 개념 정의 및 측정
 4. 분석 결과
  1) 큐레이팅 저널리즘 ‘읽고 쓰는 방식’과 의견의 질
  2) 큐레이팅 저널리즘 ‘읽고 쓰는 방식’과 정치참여
  3) 큐레이팅 저널리즘 이용에 따른 의견의 질과 정치참여
 5. 연구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윤 Dongyoon Kim.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정아름 Areum Jeong.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