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중국 우한(武漢, 무한) 지역 조선인 일본군 전 ‘위안부’ 내러티브와 문학(내러티브) 교육의 방향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of Korea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uhan(武漢) in China and the Direction of Literary(Narrative) Education

임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ituation and the narrative of Korea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uhan(武漢) in China and the direction of literary(narrative)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narrative of Korea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uhan(武漢) in China.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they were not well identify the status of overseas Korean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despite the disastrous life. Second, China's biggest Korea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street, Hankou(漢口) Zicheng(積慶里), was in the Wuhan. Korea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the Wuhan area were born in 1919-1928. Japan deceived the girls and they forced to go there. They were almost no parental permission. They were forced to violence, including rape, beatings, extortion, hunger while the ‘comfort women' life. After the War, they married with Chinese men. But they refused to be the Chinese people. They were persecuted for being Korean and ‘comfort women' from the Chinese. But occasionally, they also met with understanding husbands. Their only hope is to visit the home and spend the rest of his life in his homeland. The mission of literary(narrative) education is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mpathy for others. But it depends on how learner to have the empathic concern about the others. I think, there are ways to achieve it. We have to teach learners to able to empathize with suffering people and think and express about them rather than just theoretical, logical understanding about the literary(narrative) text. It will also be ultimately connected institutions, norms, and politics.

한국어

이 글은 중국 우한(武漢) 지역 조선인 일본군 ‘성노예’, 즉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현황과 내러티브를 살펴보고, 우리 문학(내러티브)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국 우한 지역 일본군 ‘위안부’를 문제 삼는 것은, 해외 거주 ‘위안부’에 대한 현황 파악이잘 되어있지 않고, 그녀들의 이야기에 대한 연구가 아주 미흡하기 때문이며, 중국 최대 위안소거리 즉 한커우(漢口) 지칭리(積慶里)가 바로 우한 지역에 있었다는 사실이다. 우한 지역 조선인 일본군 전 ‘위안부’들은 1919∼1928년생이었으며, 끌려간 나이는 13세부터 20세까지 모두 10대들이다. 끌고 간 이유는 돈을 잘 벌게 해주겠다며 공장이나 보모로 일하러 가자는 것이었다. 그들은 대부분 부모들의 허가를 받지 않았다. 그들은 ‘위안부’ 생활을하면서 구타, 갈취, 굶주림 등 폭력에 시달려야 했으며 인간 이하의 생활을 했다. 해방 후 그녀들은 중국 남자와 결혼했으며, 중국에 귀화하지도 않았다. 그녀들은 중국인들에게 조선인이라는 것과 ‘위안부’였다는 이유로 핍박을 받았으며, 간혹 이해심 있는 남편을 만나기도 했다. 그녀들의 남은 유일한 소망은 고국에 방문하거나 여생을 고국에서 보내는 것이다. 인문학 가운데 문학(내러티브)이 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찾는 것이 임무라 한다면, 타인에 대한 책임 의식과 공감을 갖도록 하는 것은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그런데 공감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려는 교육적 기획은 폭력을 당하는 타인들에 대하여 학습자들로하여금 어떻게 공감적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느냐에 달려 있다. 문학 텍스트에 대하여 단지 이론적, 논리적, 사실적인 것들만 파악하는 것보다, 곤경에 처한 인물에 대하여 공감을 통해 느끼고 그들의 삶을 생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제도, 규범, 정치와도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우한(武漢, 무한) 지역 조선인 일본군 전 ‘위안부’ 현황
 3. 조선인 일본군 전 ‘위안부’ 내러티브 : 하상숙(하군자, 기미코, 호진즈)할머니를 중심으로
 4. 타인에 대한 책임, 공감, 그리고 문학(내러티브) 교육의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경순 Lim, Kyung-Soon.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어교육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