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정-일의 충실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s of Family-work Enrichment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윤숙경, 김문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the aim of the current research was to test how family-work enrichment contributes to job satisfaction by examining whether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family-work enrich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family-work enrich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ree dimensions of family-work enrich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family-work enrichment of employees, they feels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ood agreement with Greenhaus & Powell's family-work enrichment model(2006), social exchange theory(Bau, 1964), and the results of McNall et al.(2010). Also, there is a positive impact of family-work enrichment on team efficacy, and there is a positive impact of team efficacy on team performance. Thus, there i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work enrichment and team performance. This show that the positive interaction of family-work increase self-efficacy, which in turn, improves job satisfaction. Subsequently, i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formance.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family-work enrichment and job satisfaction, only the development dimension exi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rectly explain the result of previous study(Tang et al., 2012). That i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not a moderator of family-work enrichment and job satisfaction but an antecedent of family-work enrich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론적 관점에서 가정-일 충실화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기초를 확장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파악해 봄으로써 일-가정 충실화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그 대상은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다니는 남녀 직장인들을 표본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 예비조사(pretest)를 거쳐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1,300부 배포하여, 총 695부가 회수되었고, 부실한 45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650부를 SPSS Ver.18.0과 AMOS Ver.18.0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일 충실화와 직무만족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지만, 조직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으로 하여금 종업원들의 가정생활에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 조직역할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가정-일 충실화
  2. 자기효능감
  3. 조직지원인식
  4. 직무만족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2.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1. 신뢰성분석
  2. 타당성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연구가설의 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숙경 Yun, Suk Kyung.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김문중 Kim, Moon Jung.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