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상담교사 제공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 탐색

원문정보

An Exploration of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Helpful and Dissatisfied Factors in School Counseling

송수정, 오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explored helpful and dissatisfied factors that are recognized by the high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a school-counselling service by way of concept mapping. For this purpose, ten high-school teachers (3 males, 7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terview based on the focal questions was analyzed. The finding is that, as for the helpful factors, a total of 12 clusters of helpful factors were formed: ‘Cluster (hereafter C) 1, counselling and consultation’, ‘C2, psychological support’, ‘C3, information obtainment’, ‘C4,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C5, creation of counselling environment’, ‘C6, connection with the third parties’, ‘C7, preventive measures’, ‘C8, crisis management’, ‘C9, establishment of sympathetic relationship with students’, ‘C10, counsellor’s expertise’, ‘C11, counselling for parents of students’, and ‘C12, medi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ach cluster was evaluated. The highest one was C8, crisis management, while the lowest one was C12, mediation. As for the dissatisfied factors, the total seven clusters were formed: ‘C1, showing excessive tolerance toward students’, ‘C2, problem of maintaining confidentiality’, ‘C3, taking counsel with students in class’, ‘C4, lack of the service for teachers’, ‘C5, shortage of counsellors’, ‘C6, exclusivity of counselling service’, and ‘C7, insufficient competence of counsellors’. As for the importance degree, C5, shortage of counselors was the highest, but the lowest one was C2, problem of maintaining confidential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etaile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an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Wee클래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을 사용 하여 학교상담의 주요 관련자(stakeholder)로서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상담교사 제공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초 점질문을 바탕으로 서울, 인천, 경기 지역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남자 3명, 여자 7명) 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도움요소는 총 12개의 군집으로 ‘군집 1. 자문 및 조언’, ‘군집 2. 심리적지지’, ‘군집 3. 정보 획득’, ‘군집 4. 교사 간 협력’, ‘군집 5. 상담환경 조성 및 홍보’, ‘군집 6. 외부기관 연계’, ‘군집 7. 예방 활동’, ‘군집 8. 위기 개입’, ‘군집 9. 학생과 공감적 관계 형성’, ‘군집 10. 상담교사의 전문성’, ‘군집 11. 학부모 상담’, ‘군집 12. 중재’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5점 리커트 척도)는 ‘군집 8. 위기 개입(M=4.60)’이 가장 높았고, ‘군집 12. 중재(M=3.75)’가 가장 낮았다. 반면 불만족요 소는 총 7개의 군집으로 ‘군집 1. 학생에 대한 지나친 허용적 태도’,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 ‘군집 3. 수업 중 상담의 문제’, ‘군집 4. 교사 대상 서비스 부족’, ‘군집 5. 상담교사 부족’, ‘군집 6. 상담 업무의 비공개성’, ‘군집 7. 상담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 는 ‘군집 5. 상담교사 부족(M=4.30)’이 가장 높았고,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M=3.60)’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교육의 측면에서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상담의 개념 및 특징
  2. 학교상담에서 교사 인식의 중요성
  3.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절차
 Ⅳ. 연구 결과
  1. 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 도움요소의 개념도
  2. 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 불만족요소의 개념도
 V.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부록 1>
 <부록 2>

저자정보

  • 송수정 Song, Su-Jeong. 인천가좌고등학교
  • 오인수 Oh, In-Soo. 이화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