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컨설팅 요구도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Need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

고인규, 최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his aim, the sample selected 120 teachers who work in urban areas, 257 teachers who work in eup-town areas, 140 teachers who work in myeon-town areas, and 140 teachers who work in underdeveloped area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3 of August, 2011 to 31 of August, 2011. The 537 questionnaires were mailed and the 31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305 target except non-statistical data.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y teachers did not participate in an instructional consultation. Teachers who were experienced the consultation, participated in accordance with the advice of the local education authorities. Second, the elementary teachers had a perception that the master teacher was the most suitable consultant with the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about instruction. Third, the most desirable type of consultations was to conduct within the school building and the teachers preferred irregular and short- or medium-term consultations. Fourth, in order to activate instructional consultations, it was important that the coopera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voluntary teachers.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 8월 3일부터 30일까지 충북의 시지역에서 120명, 읍 지역에서 257명, 면지역에서 140명, 벽지지역에서 20명 등 모두 537명을 유층표집 하였으며, 이때에는 선택된 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 전체를 표집 하는 군집표집을 함께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해당학교에 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연구 기간이 방학 중인 점을 고려하여 개학 후 까지 시간을 연장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318부로 통계적 자료 처리가 불가능한 응답지를 제외한 305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컨설팅 경험 및 참여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수업컨설팅 참여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참여한 교사의 경우 수업개선지원단(교육청)의 권유로 참여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수업컨설턴트로는 수석교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과교육에 관련된 실제적 지식과 기술이 수업컨설턴트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 인식했다. 셋째, 수업컨설팅 유형은 교내를 가장 선호했으며, 정기적인 운영보다는 비정기적 수시운영을 그리고 단기적 혹은 중기적인 수업컨설팅 운영을 더 선호하였다. 넷째,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관기관이 수업컨설팅의 체계적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 분위기 조성이 일선학교의 수업컨설팅 활성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요구도 분석을 위한 문헌 분석
  1. 초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2. 수업컨설팅 요구도 분석을 위한 문항 도출
  3. 수업컨설팅 요구도 선행 연구 결과 분석
 Ⅲ. 수업컨설팅 요구도 조사 방법 및 절차
 Ⅳ. 충북지역 교사의 수업컨설팅 요구도 분석 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수업컨설팅 경험 및 참여 요구
  3. 수업컨설턴트 활동 및 자격에 대한 인식
  4. 수업컨설팅 운영
  5. 수업컨설팅의 효과 및 지원과제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인규 Go, In-Gyu. 한솔초등학교
  • 최지연 Choi, Ji-Yeon.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