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infant teachers’ confusion about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nfant education and care (educare) in practice and their inner power of overcoming the confusion and growing as a professional. For this purpose, 24 infant teachers in Korea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tilized as a primary data sou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key factors that lead to confusion about professional identity, the infant teachers highlighted (1) the lack of knowledge and ambiguousness about infant educare, (2) inelegant teaching, (3) physically and emotionally hard work, (4) parents’ low expectation on infant teachers, and (5) social undervaluation on the roles of infant teachers. In spite of experiencing these confusion and difficulties in professional identity, the infant teachers had the inner power of overcoming them as well. To be concrete, the teachers were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infant teachers by (1) making an effort to understand and respect infants’ uniqueness and to gain professional knowledge, (2) forming a more appropriate belief about infant educare, (3) refueling energy by getting emotional rewards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infants, (4) making an effort to build trustabl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infant teachers, and (5) placing a proper value on the roles of infant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영아교사들이 실제 영아교육‧보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과 이를 극복하는 내적인 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1세반 담임교사 24명이었으며, 면담을 자료수집의 주요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영아교사들에게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하는 요인으로는 영아교육‧보육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모호함,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교실, 육체적‧정신적 소진, 부모의 영아교사에 대한 낮은 인식, 영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제한된 사회적 평가가 있었다. 이러한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과 동시에 영아교사들은 이를 극복하는 내적인 힘도 가지고 있었다. 즉, 영아의 독특성에 대한 이해와 전문지식을 얻기 위한 노력, 영아교육에 대한 신념의 형성, 영아와의 관계에서 오는 정서적인 충족감, 부모와의 신뢰 형성 및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 영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가치 부여를 통하여 영아교사들은 영아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하는 요인
2. 전문적 정체성의 혼란을 극복하는 힘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