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바일 기반 자가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운동지속도와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mobile-based self-health management program on adherence, health fitness fact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우경, 정철규, 이봉근, 윤필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obile-based self-health management program on exercise adherence, body composition, fitness fact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85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43, female=4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physical activity utilizing mobile-based self-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12 weeks. The following item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 body composition, fitness factor(flexibility, strength, power, cardiopulmonary endurance). Measur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and paired t-test in SPSS(ver 18.0)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dherence appeared differences in drop-rate of male students(15.56%) and female students(35.56%), so male student adherence(84.44%) is higher than female students(64.44%). Body composition wer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weight, BMI, %fat, muscle mass by male students(p<.01, p<.05). However, female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fat. Also, fitness factors wer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flexibility and strength. Mobile-based self-health management program accompanied physical activity were effectiv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alth promotion. This results can be utilized not only in fitness factor improvement but also in students' health management strateg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모바일 기반 자가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을 때, 운동지 속도와 신체조성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5학년 85명(남학생 43명, 여학생 42 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모바일 기반 자가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게 하였으며, 실험 전·후로 신체조성과 건강체력(유연성, 근력, 순발력, 심폐지구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모 바일 기반 자가건강관리 프로그램 이용에 따른 운동지속도는 카이제곱으로, 각 체력요인별 표본결과 값의 차이 비교는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지속도는 남학생이 45명에서 38명으로 7명 (15.56%)의 탈락자를 제외하고 84.44%의 지속도를 보였고, 여학생은 45명에서 29명으로 16명(35.56%)의 탈락자를 제외하고 64.44%의 지속도를 보였다. 신체조성에서는 남학생이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p<.01) 차이가 나타났고, 여학생에서는 체지방률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에서 유의한(p<.01)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각 체력요인에서는 남학생이 유연성(p<.05)과 근력(p<.01), 순발력(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유연성(p<.05)과 근 력(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동반한 모바일 기반 자가건강관리 프 로그램의 사용은 초등학생의 건강증진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초등학생들에게 비만의 개선방법과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여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운동지속도
  2. 신체조성
  3. 건강체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이우경 Lee, Woo Kyung. 경운대학교
  • 정철규 Jung, Chul-Kyu. 경운대학교
  • 이봉근 Lee, Bong-Kuen. 경운대학교
  • 윤필규 Yoon, Phil-Kyu. 경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