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형사상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 인정과 관련된 대법원 판례분석

원문정보

Judicial Analysis on Supreme Court Precedents Related to Criminal Malpractice and Acceptance of Causal Relation

박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preme Court of Korea has been mitigating the burden of proof on the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by a patient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al transfer of such burden of proof on causal relation as well as relieving a doctor’s burden of proof on mistake in the civil damage claim suits on the malpractice. However, a prosecutor shall strictly prov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malpractice and unfavorable results as well as a doctor’s mistake in the criminal cases for making a doctor accept the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 or injury in accordance with In Dubio Pro Reo principles. Furthermore, it shall not be allowed to relieve the burden of proof on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applied in the civil proceedings. Nevertheless, it was widely known that the front-line courts accepted the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by quoting the legal principles on relieving the burden of proof on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applied in the civil cases even in criminal cases with no or insufficient proof on malpractice or causal relation. However, the latest precedents in Supreme Court explicitly declared the opinion that there was no reason to apply the legal principle to relieve the burden of proof on the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in the criminal cases requiring the proof ‘which doesn’t cause any reasonable doubt’ on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principles ‘favorable judgment for a defendant in case of any doubt’ on the basis of the strict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Accordingly, Supreme court definitely clarified that there would be no reason to relieve the burden of proof on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in criminal cases by reversing several original judgments accepting malpractice and causal relation even though there were no strict evidence.

한국어

우리 대법원 판례는 의료과실로 인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는 의사의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완 화하는 한편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을 사실상 전환하면서 환자 측의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 책임을 완화하고 있다. 하지만 형사사건에서는 in dubio pro reo의 원칙에 따라 의사의 업무상과실치사상죄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검사가 의사의 과실 및 그러한 의료과실과 악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엄격한 증명을 하여야 하고, 민사소송절차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는 과실 및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의 완화가 적용될 여지가 없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일선 재판부에서는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에 대한 엄격한 증명이 없거나 부족한 형사사건에서 민 사판결에서의 과실 및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 완화 법리를 원용하여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경우가 드러 있다. 하지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의 완화 등은 엄격한 죄형법정주의를 바탕으 로 '의심스러울 때 피고인의 이익'으로 라는 원칙에 따라 '합리적인 의심이 없을 정도'의 의료과실과 인과관 계에 대한 입증이 필요한 형사재판에 있어서는 이를 적용할 여지가 없다는 입장을 명시적으로 선언하면서, 엄격한 증명이 없음에도 의료과실과 인과관계를 인정한 원심판결들을 여러 건 파기하여, 형사사건에서는 의료과실과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 완화가 적용될 여지가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목차

I. 형사사건에서 의료과실의 인정기준
  1. 일반론
  2. 민사사건에서의 과실 및 인과관계 인정기준과의 차이 : 입증정도 및 입증 책임의 완화 여부 자체에서 차이 남
  3. 동일한 사안에 대해 민ㆍ형사재판에서 달리 판단할 수 있는가?
 II. 최근 형사상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의 인정에 과한 대법원 판례의 경향
 III. 대법원 2014. 5. 29. 선고 2013도14079판결
  1. 공소사실의 요지
  2. 하급심의 판단
  3. 상고이유의 요지
  4. 대법원 판결내용
  5. 위 대법원 판례 분석
 IV.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3도16101판결
  1. 공소사실의 요지
  2. 하급심의 판단
  3. 상고이유의 요지
  4. 대법원 판결내용
  5. 위 대법원 판례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호 Young-ho, Park. 대법원 재판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