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Family Life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Perspective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exploratory study on family lif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Family life education was taught a life competency in everyday life. The value of family life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be deal with diverse family and cultur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Famil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article reviewed curriculum in Korea and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 America. Second, the documents was analyzed a view on family and culture. As the results, first, family life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on a various of view. Second,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be teach to children a life competency. Third, we should be develop the contents of family and culture in school, so the contents need to have a scheme and connection. In schooling, some subject deal with assimilation and cultural pluralism. Especially, Practical Arts Education in Korea is important subject, because of life competency for children.
한국어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 변화 속에서 가족생활교육을 초등학교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가족생활교육은 가족 구성원이 가져야 할 역량을 기르는 교육으로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되어 있는 가족과 문화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가족에 대한 내용을 사회, 도덕, 실과교과를 통해 다루고 있으며, 문화에 대한 내용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교육성취기준에서 가족과 문화에 대해 다루고 있는 내용은 가족의 경우 건강교과에서 건강한 삶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고, 문화에 대한 내용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는 정도로 다루어 우리나라의 내용과 유사하였다. 이를 통해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세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족생활교육의 내용에서 문화의 동등함을 통한 다양성의 인정에 가치를 부여해야 하며, 두 번째로 아동의 생활역량을 가족관계를 통해서 기를 수 있도록 학교교육을 통해 접근해야 하며, 세 번째로 교과목을 통하여 위계와 연계성을 고려한 내용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교과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실과 교과의 가정생활영역은 가족생활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적절한 내용체계로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를 준비하는 역량을 갖추는 교과로서 그 의미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와 가족에 대한 교육의 방향과 의의
2. 다문화사회에서 아동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대상
2.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 결과
1. 국내외 공교육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와 가족생활관련교육 요소 분석
2. 초등교육에서 가족생활교육의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