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현대윤리학에서 욕구의 의미 논쟁 -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Debate on the Meaning of Desire in the Contemporary Ethics - Focused on a Criticism of Hume’s Moral Distinction Argument -

김남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and to criticize this argument from the viewpoint of a debate on normativity and motivation in the contemporary ethics.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is as follows: (1) Hume insists that moral distinctions are not based on the exercise of reason but rather the result of the exercise of passions(desires) because passions(desires) have power to motivate actions. (2) Hume insists that moral distinctions derive not from reason but from moral sense(emotions, passions, desires) because morality and normativity can’t be justified by reason and rational argument. The moral distinction argument of D. Hume has been criticized over the last three or four decad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in the contemporary ethics. (1) Agent’s desire can’t motivate moral actions. Rather, it is the state of being motivated by normative reasons and practical reasoning. It has merely a kind of placeholder sense. (2) It is very difficult that agent’s desire meets the condition of moral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Agent’s desire should be evaluated by normative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agent’s desire. (3) Hume tries to substitute normative reasons(justifying reasons) with explanatory reasons. It is a kind of category mistake. In brief, there are normative reasons which are independent of agent’s desire, and these reasons have motivating force.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가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형성한다 는 흄의 주장과 그 근거를 분석하고, 이러한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을 현대윤리학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구하는 것이다. 흄은 자신의 도덕적 구별 논변을 다음과 같 이 정당화한다. 첫째, 흄은 자신의 동기 유발 논변의 연장선상에서 이성이 아니라 정념(감정, 욕구) 이 행위를 동기 유발하기 때문에,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형성한다고 주장한 다. 둘째, 흄은 이성적 논증을 통해 도덕성과 도덕 판단의 원리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도덕의 규범적 근거는 이성이 아니라 행위 주체의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최근 3∼40여 년간 이루어진 현대윤리학의 규범 논쟁과 동기화 논쟁은 실천 이 성의 존재와 기능을 재조명하면서 이러한 흄의 도구주의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첫째, 흄 의 주장처럼 행위 주체의 욕구가 도덕적 행위를 동기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주체의 욕구는 도덕의 규범적 근거와 그와 관련된 실천적 추론에 의해 동기화된 결과로서 허사로서의 의미를 지 닌다. 둘째, 행위 주체의 감정과 정념에 토대를 둔 욕구는 규범적 도덕 이론에 요구되는 보편성과 객관성을 갖추기 어려우며, 행위 주체의 욕구는 오히려 행위 주체의 욕구와는 독립적이고 객관적 인 기준에 의해 평가되어야 한다. 셋째,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도덕적 행위 동기화의 근거로 대체 하려는 흄의 시도는 일종의 ‘범주의 오류’를 범한 것이다. 요컨대, 최근 현대윤리학의 논쟁들은 흄 의 도구주의에서 벗어나 행위 주체의 욕구와는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의 규범적 근거의 존재와 그것의 동기화의 기능을 논증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
 Ⅲ. 흄의 도덕적 구별 논변에 대한 비판적 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준 Kim, Nam-Joon.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