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업공동체’활동을통한사회과수업의성찰과소통

원문정보

A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o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rough a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류현종, 김은석, 정광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ddresses a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through which Teachers College faculty in Jeju Universit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have inquir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in a practium collaboratively. The community members have performed, interpreted, reflected, and discussed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o reveal various meanings in the instructions. They are suggested under subjects of ‘Desire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eating plotline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eachers’ feeling sympathy with students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real-life problems’, and ‘Learning social studies and time.’ Implications and tasks which they provid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ractice of ‘Community for Instruction’ each of researcher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y of reflecting o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But total process of instruction study-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 communication, correction, re-implementation-should be discussed. Also, for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a instruction in class situation, coteaching in which community members teach together deserves considerations. Second, a range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should be extended to a relational domain of instruction. The focus of reflection should be on lifes of teacher and students, a culture of instru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structure etc out of emphasizing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instruction. Third, a practicum system, in which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an select a mentor teacher and live in the mentor’s classroom to teach social studies, should be set. Social studies course should be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life of classroom.

한국어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재직하고 있는 J대학교 교육대학과 학교 현장이 ‘교육실습’을 매개로 수업을 같이 탐구했던 수업 공동체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수업 공동체 구성원인 교수(연구자들), 학부생, 현장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을 실행, 해석, 성찰, 논의하면서 사회과 수업의 다양한 의미들이 드러났는데, 이를 ‘사회과 수업에 대한 소망’, ‘사회과 수업의 줄거리 짜기’,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공감’, ‘사회과 수업과 ‘현실’ 문제’, ‘사회과 학습과 시간’이란 주제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사회과 수업의 의미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이해와 관련한 시사점과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연구자들, 예비 교사, 현장 교사들의 각 입장에서 사회과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계획, 실행, 성찰, 소통, 수정, 재실행 등의 수업 연구 전 과정에 걸친 논의를 통해 보다 총체적으로 수업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수업 상황에서 성찰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수업에 참여하는 코티칭의 활용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둘째, 사회과 수업 논의가 수업 전문성 기준에 초점을 둔 논의에서 수업의 관계적 차원을 드러낼 수 있는 논의로 확대되어야 한다.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업에서 구현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넘어서 사회과 수업이 수업자와 학생 삶, 수업 문화, 교육 환경, 사회 구조에 주는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실습과 사회과교육 강좌의 전향적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수업이 학생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고 볼 때, 멘토 교사를 정하여 오랜 시간 동안 멘토 교사의 교실에 살면서 생활지도와 학습지도를 경험할 수 있는 실습 체제가 필요하다. 사회과교육 강좌도 이런 교실 삶과 연계되어 운영되어야 하며, 예비 교사들이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 교수들이 팀티칭을 이루어 강의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머리말
 II. 선행연구 고찰
  1. 교육 실천 공동체
  2.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
 III. 연구 맥락 및 방법
  1. 연구 맥락
  2. 자료 수집 및 분석
 IV. 사회과 수업의 성찰과 소통
  1. 사회과 수업에 대한 소망
  2. 사회과 수업의 줄거리 짜기
  3.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공감
  4. 사회과 수업과‘현실’문제
  5. 사회과 학습과 시간
 V. 맺음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현종 Ryu, Hyunjong. 제주대학교
  • 김은석 Kim, Eunsuk. 제주대학교
  • 정광중 Jung, Kwangjoong.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