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래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모형 탐색

원문정보

The Investigation of the Future-Oriented Cuniculum Model for the University of Education

고경석, 최유현, 박인기, 석문주, 노석구, 한진수, 이대식, 조동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new curriculum models for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developed future-oriented curricula reflecting the curriculum paradigm shift for the colleges, complying with the pursuit and reques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or the philosophical bases of the futur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suggested practical philosophy, initiative and self-confident teachers, communication with various groups keeping pace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ss media, integration of life and knowledge, critical adaptation to technocracy, and harmonious experience of globalism and localism.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the results from in-depth interviews and Delphi method, this study suggested two models as curriculum tactics which are applicable and practicable for mid to long range period of time. In one mode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 only one subject and is in charge of one class as well. And in the other model, the curricula for lower grades and for higher grades are separately applied, and teachers for higher grades instruct only one subject and are in charge of one class. Finally, the required policies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se future-oriented curricula for the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uggested on the level of the colleges and of the nation, respectively.

한국어

이 연구는 21세기 우리 사회의 지향과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형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모형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미래형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실사구시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존재성과 총체성을 고양하고, 새로운 소양과 기술과 능력을 갖춘 유능한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현행 체제내외에서 가능한 몇 가지 실행 모형들을 탐색검토하였다.그 결과, 10여개에 이르는 가능한 모형들을 설정하고 몇 가지 철학적 지향점을 토대로 심층면접, 델파이 조사, 그리고 선진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이 연구에서는 중장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미래형 교육과정 모형을 두 가지 압축하였다. 그 하나는 현행의 모든 교과 담당체제를 주요교과/전담교과 체제로 전환하여 한 교사가 주요교과를 담당하면서 하나의 전담교과를 담당하는 <학급담임 + 1교과 전담체제> 모형이며, 다른 하나는 현재의 초등학교 담임 체제를 저학년과 고학년 담당교사로 분리하여 고학년 담당 교사에게 주요 교과와 함께 하나의 교과를 전담하도록 하는 학년분리형 <고학년 학급담임 + 1교과 전담체제> 모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을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고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교육대학교와 국가적 차원의 정책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목차

I. 서론
 II. 모형 탐색의 전제 : 몇 가지 철학적 지향성
 III. 대안적 교육과정 모형 검토
  1. 양성 체제에 따른 모형
  2. 이수 기간 체제에 따른 모형
  3. 대안적 모형의 선결요건 검토
 VI. 대안적 모형의 적용과 실천 방안
  1. 실천 모형 I
  2. 실천 모형 II
 V.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경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최유현 충남대학교 교수
  • 박인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석문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한진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이대식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조동섭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