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eaning of Experiential Learning of Mature Aged Students Attending in a College of Industry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of the mature aged students who were attending technical college and to suggest better understanding on these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basic and generic approach,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Total 8 number of sophomore to senior students of college of industry of C college located in K campus and P campu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with 149 concepts, 25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at the open coding stage. The processes of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participant were follows. First, it was the process from the discontinued academic work which caused the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in their lives with only a high-school diploma into progressively gaining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even though there were age gap from 26 to 64 as well as time-gap. Second, it brought the educative results that promoted the best use of their academic knowledge in working site and made them to obtain certain certificates such as in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as well as encouraged them for further learning courses such as entering graduate school among 7 out of 8 participants. The study also found the deep structure of experience that brought the internal and external development as well as mature awareness by participate the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 better lives in their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산업대학의 늦깎이 대학생들의 경험학습 과정의 특성에 대한 것을 밝 히고 향후 이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 적연구방법의 기본적 해석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C대학 산업학부 K캠 퍼스와 P캠퍼스’의 일부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2~4학년 8명의 연구 참여 자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 96개의 개념과, 22개의 하의범주, 6개의 범주를 도출 하였다. 산업대학 늦깎이 대학생의 경험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6세~64세라 는 연령 차이와 오랜 시간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단절된 학업을 잇는 과정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은 그들이 고졸학력으로 살아온 어려움과 아쉬움을 자신감과 자아성취로 바꿔가는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교에서 배워 바로 현장에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가 높고, 전공 외로 배우는 평생교육과 사회복지도 활용하고 자격증을 취득하고 있으며, 연구 참여자 8명 중 7명이 대학원 진학을 고려할 만큼 미래학습의 의지도 나 타냈다. 경험학습을 통하여 외적․내적으로 발전하는 경험의 심층구조가 나타났으며, 사회봉사 등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설계를 갖는 성숙함이 발견되었다.
목차
I. 들임 말
II. 이론적 고찰
1. 성인의 경험학습
2. 경험학습의 일반적 논의
3. 산업대학의 이해
III. 연구방법론
1. 연구방법론 및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과 분석
IV. 연구결과
1. 산업대학 늦깎이 대학생의 경험학습 과정의 범주화
2. 경험학습 과정의 범주화의 분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