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피드백 유형이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Vocational Aspiration and Peer Feedback on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강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kind of feedback i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between those pre-service teachers with strong vocational aspiration and those with low aspiration, and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 of feedback and vocational aspiration. For this purpose, 64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and corrective feedback groups on their teacher efficacy level. That is, both positive and corrective feedbacks were equally effective for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fficacy. However, pre-service teachers with strong vocational aspiration showed higher level of teacher efficacy than those with low aspiration. Finally, a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type of feedback and vocational aspiration. That is, corrective feedback was more effective for those with strong aspiration while positive feedback was more effective for those with low aspi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 피드백 유형이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 집단에게는 동료의 모의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강화 중심의 피드백을 제공토록 하였고, 또 다른 집단에게는 교정 중심의 피드백을 제공토록 하여, 이 두 집단 간의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교직 희망 의지 정도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동료피드백 유형에 따른 효과가 교직 희망 의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64명의 예비교사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동료 피드백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피드백과 교정적 피드백 모두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되려는 확고한 의지를 지닌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피드백 유형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희망 의지가 강한 예비교사들에게는 교정적 피드백이 교사효능감 향상에 더 효과적인 반면, 교직 희망 의지가 강하지 않은 예비교사들에게는 긍정적 피드백이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효능감
  2. 피드백
  3. 교직 희망 의지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검사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동료피드백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 검증
  2. 교직 희망 의지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 검증
  3. 교직 희망 의지와 동료피드백 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4. 인터뷰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숙희 Kang, Sook-Hi. 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