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열과 pH의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s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

김미정, 송유진, 이소영, 김꽃봉우리, 이소정, 김서진, 윤소영, 안동현, 최정수, 전유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Ishige okamurai by comparingthe yields,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TP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its 95%, 70%, 50% fermented ethylalcohol and water extract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extractswere evaluated by their TPC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capabilities. The yields of theextracts were greatest in the order of water>50%>70%>95% fermented ethyl alcohol, and the TPC of the 70%(26.18%) and 50% fermented ethyl alcohol (27.56%)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However, in terms ofDPPH radical scavenging and ferrous-reducing power, the 70% fermented ethyl alcohol extract of Ishige okamurai showed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s. Additionally, in the results for the heat and pH treatment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70% fermented ethyl alcohol extract were not influenced by the treatment conditions except at pH 10.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패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고,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식품 산업에서 천연항산화제로써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에 패를 95, 70, 50% 발효주정 및 물로 추출한 뒤 각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선정하였고, 최적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열 및 pH 처리에 따른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17%의 비교적 높은 수율과 26 mg/g의 높은 총 페놀화합물함량을 보이며, 0.1mg/mL에서 약 73%의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 이를 최적 추출물로 선정하였다. 70% 발효주정 추출물을 60oC에서 10, 30 및 60분, 80oC과 100oC에서 10분, 20분그리고 121oC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열안정성을 알아본 결과,무처리구 및 모든 처리구에서 94%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24mg/g 이상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을 유지하여 높은 열안정성을보였다. 패 70% 발효주정 추출물의 pH처리에 의한 항산화능의안정성을 알아본 결과, pH 2, 4, 6 및 8 처리구의 경우 무처리구와 유사한 항산화능을 보여 높은 pH 안정성을 나타냈으나, pH10 처리구의 경우 89%의 라디칼 소거능과 20mg/g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을 보여 다소 감소된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패 70% 발효주정 추출물은 높은 수율과 항산화능을 가지며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식품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문 헌

저자정보

  • 김미정 Mi-Jung Kim.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정수 Jung-Soo Choi. 경남정보대학 식품과학계열(Subdivision of Food Science,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 송유진 Eu-Jin Song.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소영 So-Young Lee.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꽃봉우리 Koth-Bong-Woo-Ri Kim.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소정 So-Jeong Lee.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서진 Seo-Jin Kim.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윤소영 So-Young Yoon.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전유진 You-Jin Jeon. 제주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Faculty of Applied Marine Biotechnology, Cheju National University)
  • 안동현 Dong-Hyun Ahn.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연구소(Facul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stitute of Food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