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과에서 로봇활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Impact of Robot Us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전윤주, 송정범, 이태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obot has rapidly grown centered on the competitive contests and hobbies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mid 90s in Korea. To establish consistent robot education course or curriculum, it should be educated within the boundary of public education. The educational use of robot will settle as a significant and interesting educational activity to perceive technology and world in intellectual, emotional and psychomotor area. To judge from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the learning unit ‘Electricity & Electronics Everyday Life’ is effective in using the robot as educational material. This study used a block-assembly type of PicoCricket with reasonable price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and operated by program and aims to test the possibility to increas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by introducing the robot material in the ‘Electricity & Electronics in Everyday Life’ uni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t learning of ‘Electricity & Electronics in Everyday Life’ using the robo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Future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robots in various educational courses are expected.

한국어

로봇은 90년대 중반에 국내 처음 소개된 이후 지금 까지 경진대회와 취미 활동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성장 하게 되었다. 일관된 로봇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공교육 안에서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로봇의 교육적 활용은 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서 기술과 세계를 인식하는 유의미하고 흥미 있는 교육활동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실과의 내용체계를 볼 때 ‘생활 속의 전기ㆍ전자’ 단원 학습은 로봇을 교구를 활용할 때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로봇은 블록 조립형이어서 조립이 간단하고 프로그램으로 동작을 가능하며 가격이 비교적 적당한 피코크리켓 로봇을 사용하였고, 실과교육과정 중 ‘생활 속의 전기ㆍ전자’ 단원에 로봇 교구를 도입하여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로봇을 활용한 ‘생활 속의 전기ㆍ전자’ 단원 학습은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교과에 로봇을 매개로 하는 교육활동을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로봇 교육과 실과교육
  1. 로봇교육에 대한 학문적 고찰
  2. 로봇 학습의 교육적 효과
  3. 현재 로봇교육 프로그램의 특징과 한계
  4.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내용체계
 III. '우리 생활과 전자전기' 단원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1. 교수 · 학습 교구의 선택
  2. 교수 · 학습의 설계
 IV.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3. 도구 및 절차
 V. 연구 결과
 VI.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윤주 Jeon, Yun-Ju.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송정범 Song, Jeong-Beom.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태욱 Lee, Tae-Wuk.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