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가상 교육의 환경이 현실에서 벌어지는 교육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기반 교육은 학습자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E-Learning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추출해서 추출한 요인들이 E-Learning 기대효과와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E-Learning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학습자의 특성과 시스템 지원환경, 교수자의 특성 3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의 특성 요인은 사용의 편의성과 자기효능감의 2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으며, 시스템의 특성요인은 컨텐츠 구성, 내용의 적정성, 상호작용정도, 매체 풍부성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의 특성 요인들로는 강의내용, 강의스타일, 교수자신용도 등 3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의 특성은 사용자 편의성이 기대효과와 학습효과에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한 학습의 편리성이 학습의 성과가 향상되기를 바라는 학습자의 기대가 컸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학습효과도 학습자가 학습에 거는 기대감이 학습효과에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학습자의 특성
2.2 시스템의 특성
2.3 교수자의 특성
2.4 기대효과
2.5 학습효과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학습자 특성
3.2 시스템특성
3.3 교수자특성
3.4 기대효과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5.1 응답자의 분포
5.2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분석
5.3 가설검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학습자의 특성
2.2 시스템의 특성
2.3 교수자의 특성
2.4 기대효과
2.5 학습효과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학습자 특성
3.2 시스템특성
3.3 교수자특성
3.4 기대효과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5.1 응답자의 분포
5.2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분석
5.3 가설검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