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태적 사회과 교육의 방향 탐색

원문정보

A Search for the Ecological Social Studies Education

문현진, 남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direction of the ecological Social Studies education:
applying ecological principles to Social Studies. The ecosystem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cludes: social phenomenon which constitutes the main subject, learners,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home and social atmosphere which affects both learners and
teachers, and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educational policies. Every constituents interact
in the class, that is to say that the system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the mentioned
factors. The lack of flow in this ecological network,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recently. Applying the ecological principles which contains species diversity, organic
emergence and co-evolution to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an alternative effort for
them.
The latest tren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ighlights the high level thinking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t is also reached to an agreement that both are necessary for the
Social Studies class: the constructiv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effective method which
helps both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Contextualism, integration, diversity, and
spontaneity are not only the principles of ecology but also the components which form
Social Studies education. Mentioned features of Social Studies can be applied to recover
the substantiality of studying community,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process
which guarantee the organic emergence, and the evaluation methods for co-evolu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의 원리를 사회과교육에 접목해 생태적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탐
색해 보는 데 있다. 사회과 학습생태계는 사회과의 주요 주제인 사회현상과 학습자, 교사,
그 재료인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각종자료, 가정과 사회 분위기, 정책 등 사회과 수업을 둘
러싼 요소들이 만드는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사이의 관계망이
원활하지 못함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 시도로 종 다양성의 보장과 창발성의
발현, 공진화 등의 원리를 내포한 생태학을 사회과교육과 접합해 사회과 학습 생태계 회
복의 길을 찾아보고자 한다.
최근의 사회과교육은 고급사고력의 함양과 자기주도적 학습관을 강조한다. 구성주의적 지
식관과 학습자 개인과 집단의 능력을 동시에 발현하기 위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은 어
느 정도 합의를 이루었다. 이러한 경향을 통해 알 수 있는 사회과교육의 맥락성, 통합성, 다
양성, 자발성 추구는 생태학의 원리인 동시에 사회과교육의 성격을 이루는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생태학 원리들은 사회과 학습공동체의 지속가능성 회복, 창발성이 발현되는 내용선
정과 조직, 공진화를 위한 방법과 평가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목차

내용요약
 Ⅰ. 서론
 Ⅱ.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학
 Ⅲ. 사회과교육의 생태적 정합성
  1. 사회과교육의 생태적 반성과 새경향
  2. 사회과교육의 성격에 적합한 생태적 원리
 Ⅳ. 생태적 사회과교육의 방향
  1. 사회과 학습공동체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회복
  2. 창발성(Emergence)이 발현되는 내용선정과 조직
  3. 공진화(Co-evolution)를 위한 방법과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현진 Moon, Hyun-Jin. 울산범서초등학교
  • 남상준 Nam, Sang-Joon.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