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잎의 열수추출 조건 확립

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ion of Camellia japonica leaves

정진호, 이형제, 이숙영, 김광상, 임요섭, 신수철, 정경희, 박근형, 문제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establish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hot water extraction of Camellia japonica compounds based on the yield, the stability (observed by peak changes on an HPLC chromatogram), and the 1,1-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The extracts were prepared at 90℃ using six solution volumes (ranging from 100 mL to 600 mL), and four different extraction times (10, 30, 60, and 120 min).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of the extraction volume elevated th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however, changes in volume had minimal affects on their yields and their stabilities. An increase in extraction time improved the compound yield; however, it reduced their stability and increased the deterioration of their radical-scavenging activity. Based on our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conditions to be optimal for the hot water extraction of dried C. japonica leaves: a water volume (mL) that is 60 times the weight (g) of the sample at a temperature of 90℃ for 30 min.

한국어

동백잎에 함유된 유용 성분을 식품 소재로 이용 또는 제품화 하는데 필요한 열수추출 조건을 추출물의 회수율, 함유성분의 안정성 및 항산화 활성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시료 5.26g(신선중량 30g 상당량)에 대해 추출 용액(증류수)의 용량(100-600 mL, 6단계)을 달리하여 90℃에서 30분 추출한 결과, 추출물의 회수율 변화는 1% 이내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들 각 시료를 HPLC로 분석한 결과, 추출물 중에 함유된 화합물들에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그들 각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추출 용매의 용량 증가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0 mL 추출 군(73.99%)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던 600 mL 추출 군(79.83%)에 근접한 2번째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동결건조시료 5.26g에 증류수 100 mL를 가한 시료에 대해 추출시간(10, 30, 60, 120분)을 달리하여 용량별 추출조건의 검토시와 동일 사항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의 회수율은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추출 시간이 30분 이상이 되면, HPLC 상에서 화합물들의 변화 경향이 현저해짐을 알 수 있었고, 항산화 활성 또한 30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어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동결건조 동백잎의 열수추출조건은 건조시료(g)의 약 60배(mL) 양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90℃에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재료
  추출 용매의 용량별 추출물 평가
  추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추출물 평가
  추출물의 HPLC 분석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한 시료량 결정
  용량별 및 시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및 고찰
  추출 용액의 용량 변화에 따른 추출물의 회수율
  추출 용액의 용량 변화에 따른 추출물의 HPLC분석
  추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추출물의 회수율
  추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추출물의 HPLC 분석
  동백잎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에 필요한 시료량 검토
  추출 용액의 용량 변화에 따른 항산화 활성
  추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항산화 활성
 요약
 문헌

저자정보

  • 정진호 Jin Ho Chung.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이형제 Hyoung Jae Lee.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이숙영 Sook Young Lee. 조선대학교 단백질소재 연구센터
  • 김광상 Kwang-Sang Kim. 식물보호기술(주)
  • 임요섭 Yo Sup Rim. 순천대학교 환경농업과학부
  • 신수철 Soo Cheol Shin.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 정경희 Kyoung Hee Jung. 전남생물산업지원센터
  • 박근형 Keun-Hyung Park.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문제학 Jae-Hak Moon.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