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학/분석

꽃향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원문정보

Volatile Compounds of Elsholtzia splendens

이소영, 정미숙, 김미경, 백형희, 이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Elsholtzia splendens using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nd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Twenty-nine compounds, comprising 3 aldehydes, 7 alcohols, 11 hydrocarbons, 5 ketones, and 3 miscellaneous one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volatile compounds of Elsholtzia splendens flowers. From leaves, 30 compounds, comprising 3 aldehydes, 6 alcohols, 11 hydrocarbons, 6 ketones, and 11 miscellaneous one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by HS-SPME in E. splendens flowers were 3 alcohols, 18 hydrocarbons, 3 ketones, and 2 miscellaneous ones. In leaves, 31 compounds, comprising 7 alcohols, 15 hydrocarbons, 7 ketones, and 2 miscellaneous one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by SDE and HS-SPME were naginataketone and elsholtziaketone, which were identified as aroma-active compounds, representing characteristic aroma of E. splenden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방향을 지닌 식용 및 약용식물인 꽃향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및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D를 이용하여 분석 동정하였으며, GC-O에 의하여 꽃향유의 aroma-active compounds를 확인하였다. SDE법에 의해 꽃에서는 aldehydes 3종, alcohols 7종, hydro-carbons 11종, ketones 5종 및 기타 3종의 총 29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aldehydes 3종, alcohols 6종, hydrocarbons 11종, ketones 6종 및 기타 4종의 총 30종이 확인되었다. PDMS fiber를 사용한 HS-SPUE법에 의해 꽃과 잎에서는 aldehyde가 검출 되지 않았으며 alcohols 3종, hydrocarbons 18종, ketones 3종 및 기타 2종의 총 26종이 확인되었고, 잎에서는 alcohols 7종, hydrocarbons 15종, ketones 7종 및 기타 2종의 총 31종이 확인되었다. 꽃향유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elsholtziaketone과 naginataketone은 SDE법과 HS-SPME법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꽃과 잎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나타났다. 꽃향유 향기분석에서 SDE 및 PDMS fiber를 이용한 HS-SPME방법의 주요한 차이는 비극성인 SPME fiber에서 비교적 극성 물질인 aldehyde류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GC-O 분석을 통하여 elsholtziaketone과 naginataketone이 강렬한 운향(rue-like)을 지니며, 톡 쏘는 듯한 향신료의 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elsholtziaketone과 naginataketone이 꽃향유 특유의 향 발현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정보

  • 이소영 So Young Lee
  • 정미숙 Mi Sook Chung
  • 김미경 Mi Kyung Kim
  • 백형희 Hyung Hee Baek
  • 이미순 Mi Soon Le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