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리활성/영양

사람의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원문정보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사재훈, 이완, 신인철, 정경진, 심태흠, 오흥석, 정의호, 김영진, 김광기, 최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tioxidant effects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copper-mediated LDL oxidative modification were investigated. Oxidation products of LDL were determined based on TBA value, formation of conjugate diene, and apolipoprotein carbonyl value. As revealed through TBA values,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R. davurica Pall root showed strong antioxidant effect, with 85.3 and 93.2% inhibitions at 30 μg/mL each, respectively.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at 30 μg/mL inhibited LDL oxidation up to 8 hr. Conjugate diene formation by lipid oxidation with Cu2+ addition in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decreased 2.2-and 5.6-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Carbonyl value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M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R. davurica Pall root showed higher absorbancy at 285 nm. Ethanol extract of R. davurica Pall root and stem contained 10.6 g/100 g total phenolic compounds. Results reveal phenolic compound as major biological component in R. davurica Pall extracts.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 showed strongest antioxidant effect on LDL oxidation.

한국어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로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사람의 저밀도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100g당 8.3-10.6g으로 매우 높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측정 한 결과,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획물이 285nm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ARS에 의한 LDL산화 억제효과 측정시,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회물의 경우, 30 μg/mL 첨가시 85.3% 및 93.2%까지 LDL 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3 분획물, EtOAc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은 30 μg/mL 분획물 첨가시 Cu2+에 의한 LDL 산화를 8시간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u2+에 의한 apoB carbonylation과 conjugate diene형성 억제효과 측정시,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회물이 가장 탁월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생열귀나무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매우 탁월하므로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되는 약용식물자원이다.

저자정보

  • 사재훈 Sa, Jae-Hoon.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이완 Lee, Woan.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신인철 Shin, In-Cheol.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정경진 Jeong, Kyung-Jin.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심태흠 Shim, Tae-Heum.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오흥석 Oh, Heung-Seok.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영진 Kim, Yong-Jin.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정의호 Cheung, Eui-Ho.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김광기 Kim, Gwang-Gee. 정선군농업기술센터
  • 최대성 Choi, Dae-Sung. 정선군농업기술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