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식용 해조에서 단백질의 개발연구 ; 비식용해조에서 단백질의 추출조건 및 분리된 조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원문정보

Development of Protein Utilization from Inedible Algae -I. Separation of Crude Protein from Inedible Algae and its Amino Acids Pattern in Crude Protein-

金俊平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velopment of protein utilization with inedible algae (Ulva pertusa Kjellman, Sargassum aumyendo Kjellman) have been investigated. These include a) composition of algae, b) condition fo extractability of crude protein with water and tris buffer, c) precipitation of crude protein with various precipitate agent, d) digestibility of algae diet which was mixed with wheat bran, e) pepsin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and f)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algae protein.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1) Two species of algae examined were good source of protein because they contained 17% to 19% of crude protein; (2) Ulva pertusa Kjellman could be used for an animal diet, and its proper mixing ratio with wheat bran was 25% of algae to 75% of wheat bran, of which the condition reveals the best digestibility; (3) Water was better extractant for protein of the algae than tris buffer, precipitation of protein in boiling water bath was the most economical method of preparation of the protein from algae unless the protein activity was required; (4) For the precipitates from algae between pH 1~12, its yield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alkaline concentration; (5) Extractability of protein from algae were not affected by either ascorbic acid or sucrose in tris buffer solution; (6) Aspartic and glutamic acids were the amino acids most abundant in the algae proteins and essential amino acids, especially of leucine, isoleucine, valine, threonine, lysine and tryptophan, were also relatively high in its contents.

한국어

비식용해조중(非食用海藻中) 구멍갈파래와 개말을 택(擇)하여 그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해조(海藻) 중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추출조건(抽出條件)과 분리조건(分離條件)을 살펴보았다. 또한 구멍갈파래의 동물사료(動物飼料)로서의 적부실험(適否實驗) 및 해조(海藻)로부터 분리(分離)한 조단백질(粗蛋白質)의 효소(酵素)에 의(依)한 분해력(分解力)과 그 아미노산(酸) 조성결과(組成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구멍갈파래에 19% 개말에 17%의 조단백질(粗蛋白質)이 함유(含有) 되어있으므로 단백질(蛋白質)의 좋은 자원(資源)이 될 수 있다. (2) 구멍갈파래는 사료(飼料)로서 사용가능(使用可能)하며 배합비(配合比)는 밀기울에 대(對)해 25%가 가장 체중(體重)의 증가(增加)가 좋을 뿐 아니라 단백질(蛋白質)의 소화율(消化率)도 좋다. (3)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추출조건(抽出條件)은 Tris buffer보다 물로 추출(抽出)한 것이 좋으며 단백질(蛋白質)의 분리회수(分離回收)에도 비등욕(沸騰浴)에서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수율(收率)도 좋다. (4) 조단백질(粗蛋白質)의 분리(分離)에 있어서 pH가 alkali성(性)에 갈수록 수율(收率)이 좋다. (5) Tris buffer로 추출(抽出)시킨 조단백질(粗蛋白質)의 분리(分離)에 ascorbic acid 나 sucrose가 영향을 주지 아니하였다. (6) 분리(分離)된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아미노산(酸) 조성중(組成中)에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많이 들어있으며, 필수(必須)아미노산(酸)인 leucine, isoleucine, valine, threonine, lysine, tryptophan 등이 비교적(比較的) 많이 들어 있어 영양적(營養的)으로 좋은 편이다.

저자정보

  • 金俊平 김준평. 중앙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