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산원료를 활용한 복합분 및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제 2 보 ; 복합분을 이용한 제빵시험

원문정보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 II.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

金熒洙, 金鏞揮, 禹昌命, 李瑞來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reads were made from composite flours based on domestic resources and their quality was assess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1) When barley bread was made according to the formula for standard wheat bread, its specific loaf volume (SLV) was quite low (1.3 at 100% addition of water) in comparison with 3.3 for wheat bread. Addition of 10% defatted soy flour increased its SLV to 1.7 (at 100% water). Among various flour-improving additives, the use of 1.5% GMS + 0.5% CSL gave best results (SLV: 2.0 at 100% water). Admixture of wheat flour with the composite flour based on barley was most effective. Replacement of barley flour with 25% wheat flour gave SLV of 2.8 (at 90% water) and that with 50% wheat flour gave SLV of 3.2 (at 90% water), comparable to standard wheat bread with respect to loaf volume, color and texture. 2) Sweet potato bread had the characteristics of turning black-brown on baking. Use of 20% defatted soy flour and GMS + CSL gave higher SLV (1.9 at 100% water). Addition of wheat flour at 25% or 50% level to the composite flour based on sweet potato flour gave SLV of 2.3 and 2.6, respectively, at 90% water and its color and texture were improved 3) Potato flour was different from sweet potato flour in baking, the effect of GMS + CSL being quite low. Bread from corn flour was different from barley flour bread and defatted rice bran was not suitable for bread-making. 4) Bread was made from following composite flours based on naked barley and sweet potato flours along with the use of proper additives: (a) naked barley flour + defatted soy flour + wheat flour (45 : 10 : 45) (b) naked barley flour + defatted soy flour + wheat flour (67 : 10 : 23) (c) naked barley flour + defatted soy flour (90 : 10) (d) sweet potato flour + defatted soy flour + wheat flour (40 : 20 : 40) (e) sweet potato flour + defatted soy flour (60 : 20 : 20) Sensory evaluation of above bread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wheat bread (So) gave the following decreasing order of scores, So>(a)>(b)>(c)>(e)>(d)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howed that bread (a) was not different from standard wheat bread significantly at 5% level, in overall evaluation including color, texture, taste and flavor.

한국어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으로 빵을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보리빵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표준 밀가루빵(speciffic loaf volume, SLV : 3.3)과 동일(同一)한 formula로 제조(製造) 할 때, 그 SLV 는 1.3(물 100%)으로 아주 낮았으나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混合)하면 1.7(물 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분질개량(粉質改良)을 위한 여러 가지 첨가제중(添加劑中)에서 1.5% GMS + 0.5% CSL 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SLV : 2.0, 물 100%) 이에 다시 밀가루를 혼합(混合)하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는 바, 보리가루의 25%를 밀가루로 대체하면 그 SLV 는 2.8(물 90%)로, 50%의 경우는 3.2(물 90%)로 증가하여 표준빵과 비슷하였으며, 빵색깔도 우수하였다. 2) 고구마빵은 baking이 끝나면 흑갈색으로 되는것이 특징(特徵)이고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 20%를 혼합(混合)하면 그 loaf volume이 증가하며 결착제(結着劑)로서 GMS + CSL의 첨가(添加)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SLV : 1.9, 물 100%) 고구마가루 복합분에 밀가루를 25%와 50%수준(水準)으로 혼합(混合)하면 그 SLV는 각각(各各) 2.3, 2.6(물 90%)으로 증가하고 빵색깔이 연해지며 빵조직(組織)이 개선되었다. 3) 감자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제빵은 그 분질(粉質)이 고구마가루와는 다르고 GMS + CSL의 첨가(添加) 효과가 낮았다. 옥수수가루에 의한 제빵은 쌀보리가루와는 상이한 경향이었으며, 탈지(脫脂)쌀겨가루는 제빵 원료(原料)로서 부적당하였다. 4) 원료(原料) 공급(供給)면에서 전망(展望)이 보이는 쌀보리가루와 고구마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5종(種)의 복합분(複合粉), 즉 (1)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5 : 10 : 45) (2)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7.5:10:22.5) (3)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 (90 : 10) (4)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0 : 20 : 40) (5)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0 : 20 : 20) 으로 첨가제를 넣고 제빵한 후, 밀가루빵을 표준(So)으로 하여 관능시험(官能試驗)한 결과(結果), 평균점(平均點)의 서열은 So>(1)>(2)>(3)>(5)>(4) 이었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의 결과 (1)의 빵, 즉 보리가루와 밀가루를 동량(同量)섞고 여기에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한 복합분(複合粉)을 주원료(主原料)로 한 빵은 그 색깔, 조직(組織), 및, 향기(香氣)등의 종합평가(綜合評價)에 있어서 밀가루빵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저자정보

  • 金熒洙 김형수. 연세대학교 식생활과
  • 金鏞揮 김용휘.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禹昌命 우창명. 방사선농학연구소 식품공학연구실
  • 李瑞來 이서래. 방사선농학연구소 식품공학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