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감자의 재배기간 중 토양에 침적한 54Mn, 60Co, 85Sr, 137Cs의 작물체로의 전이

원문정보

Soil-to-Plant Transfer of 54Mn, 60Co, 85Sr and 137Cs Deposi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otato

최용호, 임광묵, 전인, 금동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measure the soil-to-plant transfer factors (TFa, m2 kg-1-fresh) of radionuclides deposi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otato, a radioactive solution containing 54Mn, 60Co, 85Sr and 137Cs was applied to the soil surfaces in soil boxes 2 d before seeding and three different times during the plant growth. For the pre-seeding application (PSA), radionuclides were mixed with the topsoil (loamy sand and 5.2 in pH). The plant parts investigated were leaves, stems, tuber skin and tuber flesh. The TFa values of 54Mn, 60Co, 85Sr and 137Cs from the PSA were in the ranges of 1.9 10-4~1.5 10-2, 1.8 10-4~7.5 10-4, 4.0 10-4~1.6 10-2, 1.5 10-4~3.9 10-4, respectively, for different plant parts. The TFa values from the growing-time applications were on the whole a few times lower than those from the PSA. For 54Mn, 85Sr and 137Cs, the TFa values from the early- or middle-growth-stage appli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late-growth-stage application,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for 60Co. Leaves and tuber flesh had the highest and lowest TFa values, respectively, in most cases. The total uptake from soil by the four plant parts was in the range of 0.05~3.16%. In the third year following the PSA, the TFa values of 54Mn, 60Co and 137Cs were 11~25%, 21~25% and 38~67% of those in the first year,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plant parts. The present results can be used for estimating the radiological impact of an acute radioactive deposi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otato and for testing the validity of relevant food-chain models.

한국어

감자의 재배기간 중에 침적된 방사성 핵종의 토양-작물체 전이계수(TFa, m2 kg-1-fresh)를 측정하기 위하여 감자의 파종 2 일전 및 생육 중 세 차례에 걸쳐 54Mn, 60Co, 85Sr, 137Cs 함유 용액을 재배상자의 토양표면에 처리하였다. 파종 전 처리에서는 핵종이 표토(pH 5.2의 양질사토)와 혼합되었다. 조사 부위는 잎, 줄기, 괴경껍질, 괴경육이었다. 파종 전 처리시 54Mn, 60Co, 85Sr, 137Cs의 TFa 값은 작물체 부위에 따라 각각 1.9×10-4~1.5×10-2, 1.8×10-4~7.5×10-4, 4.0×10-4~1.6×10-2, 1.5×10-4~3.9×10-4의 변이를 보였다. 생육 중 처리시 TFa 값은 파종 전 처리에 비해 대체로 수 배 정도 낮았다. 54Mn, 85Sr, 137Cs의 경우 생육초기 또는 중기 처리시 후기 처리보다 높았으나 60Co의 경우 이와 반대였다. 부위 간에는 대체로 잎에서 가장 높았고 괴경육에서 가장 낮았다. 토양으로부터 네 부위로의 총 흡수율은 0.05~3.16%의 범위였다. 파종 전 처리 후 3 년차 54Mn, 60Co, 137Cs의 TFa 값은 부위에 따라 각각 1년차의 11~25%, 21~25%, 38~67%였다. 본 연구결과는 감자의 생육 중 방사성 핵종의 단기침
적시 영향을 예측하거나 관련 모델의 검증에 활용할 수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감자 재배
  2.2 방사성 핵종 처리
  2.3 시료의 채취, 처리 및 분석
  2.4 전이계수 계산
 3. 결과 및 논의
  3.1 핵종의 흡수 및 작물체 내 분포
  3.2 토양-작물체 전이계수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용호 Yong-Ho Choi.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안전연구부
  • 임광묵 Kwang-Muk Lim.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안전연구부
  • 전인 In Jun.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안전연구부
  • 금동권 Dong-Kwon Keum.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안전연구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