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글로벌 잡지광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분석:글로벌 여성잡지와 국내 여성잡지 광고 비교분석

원문정보

A Content Analysis of Advertisements in Global and Local Women’s Magazines in Korea

오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reveal the different representation of women in global women’s magazines which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women’s images, this study compared advertisements of global women’s magazines with those of Korean women’s magazines. The advertisements were content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such as product categories, product origins, race of models, beauty types, dress types, and occupational role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omen’s images depicted in global women’s magazine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local women’s magazines. The women shown in global magazines were mostly Caucasian models and were more frequently depicted in a Sexy/Sensual manner with seductive outfits and generally shown in a decorative role. On the contrary, the models in local women’s magazines were portrayed more often in a Classic beauty manner with demure outfit. Additionally, global women’s magazines carried more transna-tional advertising while local magazines included more domestic advertising and the product categories of global women's magazines are highly concentrated on fashion and beauty produc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 벌써 25년째를 맞고 있는 글로벌 여성잡지가 국내 여성잡지와 어떻게 다르게 여성의 이미지를 묘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글로벌 여성잡지 광고와 국내 여성잡지 광고를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여성의 이미지 분석을 위해 뷰티타입, 모델의 인종, 의상의 노출정도, 직업역할 등의 카테고리가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변인들이 광고제품이나 광고주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글로벌 여성잡지 광고에 나타난 모델들은 섹시한 서양 여성으로 대변되는 서구화된 여성 이미지를 주로 전달하고 있었으며, 이는 국내 여성잡지 모델이 주로 보여주는 얌전한 옷차림의 클래식한 뷰티타입과는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글로벌 여성잡지 광고의 제품 원산지는 다국적 제품에 치우쳐 있었으며, 광고 제품 카테고리도 패션과 뷰티제품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서구화된 여성의 이미지가 다국적 패션 뷰티제품 광고를 통해 주로 전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연구목적
 2. 선행연구
  1) 글로벌 여성잡지와 다국적 광고
  2) 글로벌 여성잡지와 여성의 이미지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잡지선정
  2) 분석유목
  3)코더 간 상호 신뢰도
 5. 연구결과
  1) 글로벌 여성잡지 광고의 광고주와 광고제품의 차별성
  2) 글로벌 여성잡지 광고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현숙 Oh, Hyun Sook.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연구원, 언론학박사(Researcher, Yonsei 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