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발사업장에서의 강우시 토사 유출원단위 산정

원문정보

Sediment Unit Loads from Developing Areas during Storms

김철민, 이은주, 이소영, 김영철, 김이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ee phases of develop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i.e. pre-development, construction and post construction) diversely effect the environment, hydraulics and ecosystem. Currently, the omestic environmental policy is in control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hazards produced after completion of development operations. Nevertheless, with the enforcement of water pollution total amount management system,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lso the water and ecosystem preservation law recommends enforcing the sediment management for development operations in order to lessen the negative impacts to the environment. Recently, the countr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various development project locations due to insufficiency of interpreting the fundamental data for sediment loss and miscalculation of soil loss unit loads of sediment. This research utilizes data from 2000 to 2005 discussing a total of 1,036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projects gathered from various ministries and offices namely Ministry of Environment (MOE), Ministry of Agriculture, the Office of Forestry, and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reover, quantity of sediment from high land agriculture reports involving
contaminant discharge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previously did concerning old land agriculture and So-Yang lake non-point pollution source management area as well as management measured data from MO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highest soil loss rate occurred from mountain district for pre-development and post construction and sports facility during construction.

한국어

각종 개발사업은 사업 전, 사업 중 및 사업 후에 다양한 환경적, 수리학적 및 생태계적 변화를 초래한다.
그 동안의 국내 환경정책은 개발 사업 완료 이후 발생하는 각종 환경적 위해성에 대하여 관리를 하여왔으나,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과 더불어 개정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법률에서는 개발 과정 중의 환경적 위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발 사업에서의 토사유출 관리를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각종 개발사업장별 토사유출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의 해석과 토사유출 원단위 산정의 미흡으로 토사관리에 애로사항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기후학적, 토양학적,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토사유출량에 대하여 환경영향평가대상사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개발사업 면적당 토사유출량에 대한 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2000년에서 2005년까지 총 1,036개의 협의된 환경영향평가사업에 대하여 환경영향평가서와 관련 부처(환경부, 농림부, 산림청, 건교부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고랭지 밭의 토사유출량은 고령지 농업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 특성조사 최종보고서와 환경부의 소양호 비점오염원 관리지역􍾳관리대책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 각 개발 사업으로 인한 토사유출량에 관한 자료로부터 우선적으로 관리 되어야 할 것은 개발 전에는 산지개발, 개발 중에는 체육시설, 개발 후에는 산지개발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토양유실 및 토사유출관련 대상사업
  2.2 토양유출량
  2.3 토사유출 원단위 산정
 3. 연구결과
  3.1 토양유실 및 토사유출관련대상사업
  3.2 사업별 토사유출원단위산정결과
 4. 결론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철민 Cheol Min Kim. 정회원 ·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BK21 비점오염방재전문인력양성사업팀 석사과정
  • 이은주 Eun Ju Lee. 정회원 ·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Bk21 비점오염방재전문인력양성사업팀 계약교수
  • 이소영 So Young Lee. 정회원 ·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BK21 비점오염방재전문인력양성사업팀 박사과정
  • 김영철 Young Chol Kim. 정회원 ·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김이형 Lee Hyung Kim. 정회원 · 교신저자 ·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