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실습에서 두 예비교사의 자기지식 구성에 대한 계보학적 사례연구

원문정보

The genealogic case study on construction of two student teacher's self-knowledge in practice teaching

한광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nderstand to process that student teacher construct self-knowledge associated with social studies. This research is used to genealogy as the research
method. The genealogy chase contact of line segment that subject's identity is constructed by
power-knowledge and power of the running away. This research discover two student teacher is
disciplined by the context of school what is implied rule as the power and a guidance teacher
effect student teacher by the canon. None the worse two student teacher actively interpreted and
played a variation at 'frame and common sense', constructed, transformed self-knowledge. So this research is viewed student teacher's self-knowledge as the result that is play a variation between power and running away constitute a territory of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Self-knowledge isn't made by power-knowledge one-sidedly. The other side, axes of running away is the centrifugal force pass over a territory of social studies teacher' identity, but operate as centripetal force for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in the point of the creative power.

한국어

본 연구는 푸코의 계보학을 연구방법으로 삼아 교육실습 온 두 예비교사가 사회과의 자기지식을 구성, 변형하는 과정을 이해하려 하였다. 계보학은 주체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권력과 융합된 지식과 이에 대칭적인 탈주의 힘이 그려내는 선분의 궤적을 추적하는 연구방법이다. 본연구는 계보학적 시선에 따라 예비교사의 자기지식이 구성되는 맥락을 이루는 두 계기인 학교라는 외적 환경과 실습교사가 예비교사가 따르고 익혀야 할 모종의 틀과 양식인 권력-지식으로 작동함을 발견하였다. 가령, 학교의 시간은 학교라는 외적 환경이 담고 있는 규약을 예비교사가 내면화하도록 작동하는 규율화의 장치이다. 또한, 실습교사는 예비교사가 자기지식을 구성하는데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일종의 정전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본연구는 계보학적 시선에 따라 예비교사의 정체성의 지표인 자기지식을 구성하는 데 권력-지식으로 작동하는 두 계기인 학교에 국한되는 외적 환경과 실습교사를 영토화의 중심축으로 바라본다. 그러나 자기지식은 권력-지식에 의해 일방적으로 생산되지 않는다. 예비교사는 영토화의 중심축을 적극적으로 해석, 변주하면서 자기 스스로 자기지식을 구성, 변형해간다. 이 과정은 영토화의 중심축인 학교에 국한되는 외적 환경과 실습교사의 영향력을 넘어서는 탈영토화의 계기이다. 탈영토화는 예비교사의 자기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의 이면에 숨어 있는 또다른 차원으로, 영토화의 중심축과 무한히 조우하고, 갈등하고, 변형한다는 측면에서 변주라는 범주로 이해할 수 있다. 변주는 다시 한번 예비교사의 정체성의 지표인 자기지식을 새롭게 구성, 변형하는 힘이다. 그러므로 탈영토화는 사회과 교사 정체성의 영토를 가로지는 원심력인 동시에, 영토의 식생의 다양성과 차이를 보장하는 생성의 힘이라는 측면에서 재영토화의 구심력으로 작동한다.

목차

내용 요약
 Ⅰ. 서론
 Ⅱ. 계보학적 연구방법
  1. 주체의 계보학
  2. 연구설계
 Ⅲ. 두 예비교사의 자기지식 구성과정
  1. 영토화의 측면에서 바라본 자기지식의 구성
  2. 탈영토화의 측면에서 바라본 자기지식의 구성과 변형
 Ⅳ.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변주 : 재영토화
 Ⅴ.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한광웅 Han, Kwang Woong. 서울경수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