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Most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have been criticized by providing
unsuccessful profess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s. Their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re often told not to help the students get a good job. The problem
becomes more critical since the number of students application has decreased
while that of dropouts has increas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alternatives of providing effective vocational education. It is also of
importance to find out determinant factors to result in high degree of satisfaction
by the students.
A conceptual model was built up to explai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some
possible candidate factor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o prove this, a survey
was designed and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 qua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could motivate the students to get a job just after
graduation. Second, both factors of successful job acquisition and teaching
methods are found to differentiate the two groups of students; the students who
want to get a job just after graduation and those who do not want to. Especially,
successful job acquisition had great influence on whether they want a job soon
after graduation. Finally, this thesis suggested some solu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o attract more capable students to the
schools.
한국어
본 연구는 상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하고 직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집된 표본을 취
업희망집단과 진학희망집단으로 분류하여 두집단 간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직업교육의 속성들이 그 인식차이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의 직업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성하여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고,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설문조사 및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환경, 진로의식, 교육과정, 교수방법은 직업교육 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교수방법과 교육과정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취
업희망집단과 진학희망집단간의 비교분석 결과 사회적 환경과 교육과정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진로
의식과 교수방법에는 인식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더 나아가 두 집단의 인식차이를 판
별하는데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사회적 환경과 교육과정은 판별력을 가지고 있
지 못하지만 진로의식과 교수방법은 판별력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진로의식이 더 큰 판별력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직업교육의 정의
2. 직업교육 기피현상에 대한 학술적 접근
Ⅲ. 연구 설계
1.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가설의 설정
3. 설문지의 구성 및 표본의 추출
VI. 연구결과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 가설의 검증
4. 집단간의 인식 차이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