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아리야식의 無記性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원문정보

An pedagogical interpretation for aryakyta(無記性) of alaya-vijnana(阿梨耶識)

아리야식의 무기성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이지중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제29집 2007.12 pp.273-29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avyākṛta(無記性) of ālaya-vijñāna(阿梨耶識) of Consciousness- only in the view of pedagogy and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interpretation for today's education. The points are that ālaya-vijñāna(阿梨耶識 ) as our mind is the foundation of human's existence, knowledge and the subjectivity to continue human's cognition as well as life. Then, how to constitute our ālaya-vijñāna(阿梨耶識 ) by ourselves by vāsanā(熏習, perfuming) means to constitute the foundation and horizon of understanding to our world. Because our mind is avyākṛta(無記性). So,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vāsanā by ourself, the style of our existence is made differently. In the view of education, desirable constitution of our mind is to be made up ṡruta-vāsanā(聞熏習).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discussion, we can argue that the interpretation of avyākṛta(無記性) of ālaya-vijñāna(阿梨耶識 )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more focus on student participation for them to understand the truth of Being. Then, we need the analysis of student as the subjectivity of education from the view of the essence of education. Finally, we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er education to make harmony between the education for other and for ourselves.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불교철학의 유식학에서 해명하고 있는 아리야식(阿梨耶識), 즉 마음의 무기성(無記性)을 교육학적인 시각에서 해석하고, 이 해석이 오늘의 교육의 개선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무기(無記)라는 것은 인간의 마음은 그 자체로 선이나 악 등으로 규정하여 대상화할 수 없음을 뜻하는 것인데, 논고 결과 우리가 이 무기식으로서의 아리야식을 구성하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세계이해의 바탕이자 지평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곧 자신의 존재양식을 구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치 지향적 행위인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바람직한 방향으로 아리야식이 훈습된다는 것은 단순히 마음의 재구성 차원을 넘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존재양식을 새로이 구성하는 교육적 행위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아리야식의 무기성에 관한 교육학적 해석을 다음과 같이 간략히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장에서 학생이 존재하고 있음에 대한 보다 면밀한 교육학적 분석이 요구된다. 학생은 스스로 자신의 존재방식을 구성하는 교육의 주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존재의 진리에 참여케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타적(利他的) 교육과 자리적(自利的) 교육의 조화를 위한 교사교육 및 이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논문 요약>
 I. 논고의 방향
 II. 아리야식의 의의
 III. 무기식으로서의 아리야식
 IV. 무기식의 구성과 교육
 V. 맺는 말 : 교육학적 해석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중 Lee, Ji-Joong.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