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석기시대 토기 제작과정의 실험적 연구 - 토기 소성흔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eolithic Earthenware

소상영, 이승원, 안성민, 이종안, 박종부, 최광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the earthenware of Neolithic Korea has tended to focus on pottery typology and style, as a means of investigating chronology and culture groups. The study of earthenware
manufacturing processes is a relatively new undertaking which remains at a pioneering stage.
It is in this context that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means of experimental
archaeolog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Korean Neolithic earthenware.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forming Neolithic vessels was to lay it upside down; in the case of large vessels, it appears that two vessels we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later joined together into a single vessel.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patterns could be incised onto the surface regardless of the lying position of the vessel (i.e. either upside down or upright). However, in the case of patterns incised around the vessel rim, it appears that the act of decoration could be carried out in a quicker and more precise manner when the vessel was in an upright position.
The key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nges observed before and after firing. As the firing of pottery brings about a chemical change in the natural clay, thereby allowing the vessel to maintain its shape and function, it can therefore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the manufacture of earthenware.
Our experiment on the firing stage was conducted three times by means of open field firing, based on ethnographic examples and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provided insight into the formation of firing clouds (such as black and white mark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hese firing clouds coincided with the different positions (upside-down, upright, at an angle) in which the vessels were fired.
In conducting the current experiment, certain problems were exposed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program. They derive from an insufficient review of the ethnographic literature, as well as certain defect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experiment.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 current research has been successful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eolithic earthernware; this issue has been under investigated within the current archaeological climate.
The problems exposed in this experiment will be addressed in the future by means of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ubsequent experiments and those earthenware vessels actually
excavated from Neolithic sites.

한국어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에 대한 연구는 문양 및 기형의 차이를 중심으로 편년과 계통연구에 치중해왔다. 토기제작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실험은 신석기시대 토기의 제작과정을 실험고고학적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토기는 도치로 성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대형토기의 경우 기물을 따로 제작하여 접합하는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양의 시문은 도치와 정치 상태에서 모두 가능하나, 구연부에 단사선문을 시문하는 경우 정치상태에서 시문하는 것이 빠르고 정교하여 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번 실험의 가장 큰 목적은 소성전후 토기의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토기소성은 자연 상태의 점토가 화학적 변화를 거쳐 변형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종단계로 토기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성실험은 기존 연구결과와 민족지 사례를 검토하여 개방형 야외소성 방식으로 3차례 실시하였다. 소성실험을 통해 흑반, 백반 등 소성흔이 부착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직립, 횡치, 도치로 설치된 토기에서 관찰되는 소성흔의 차이와 규칙성을 확인한 것은 이번 실험의 가장 큰 성과라고 하겠다.
금번 실험은 민족지 사례에 대한 검토가 불충분하였고, 실험계획 및 과정에 있어서도 여러 문제점이 노출된 단점도 있었다. 그러나 선사시대 토기에 대한 실험고고학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그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노출된 문제점은 후속실험과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실험목적 및 계획
 Ⅲ. 실험과정 및 결과
  1. 토기성형
  2. 토기소성
 Ⅳ. 소성 이후의 토기변화
  1. 바탕흙에 따른 토기의 형태 변화
  2. 소성흔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소상영 Sang-young So. 고려문화재연구원 조사팀장
  • 이승원 Seung-won Lee. 고려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원
  • 안성민 Soung-min An. 고려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원
  • 이종안 Jong-an Lee. 고려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원
  • 박종부 Jong-boo Park. 고려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원
  • 최광훈 Kwang-hun Choi. 고려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