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문학

서사텍스트 표현력 평가 준거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원문정보

A Base Study to draw out Assessment Criteria of Narrative Expressive Ability Development

임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base study to draw out assessment criteria of narrative text(story) expressive ability development. Middle school student’s 60 stories were analyzed with story content, discourse, and communi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age difference was observed in middle school student’s narrative content. Older student produced more elaborative theme and title. 2) Significant age difference was observed in middle school student’s narrative discourse. Older student produced more complete stories containing first, middle, end. and Older student used more omniscient focalization(point of view), continuance of events, consistency of focalization when they produced stories than younger students. 3) Older student produced more communicative stories containing aesthetic emotion.

한국어

이 논문은 이야기 표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논의함으로써 이야기 표현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그동안 논의되어 온 관련 논의들을 검토해 보고, 바람직한 평가를 위한 준거를 구안함으로써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야기 표현력 평가 준거 설정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시내에 있는 중학교 1개 학교 1,2,3학년 남녀학생 총 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평가 준거를 내용, 담론, 소통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로 하위 준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제 자료를 대상으로 적용,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내용 수준에서 학년(연령)이 올라갈수록 내용과 주제에 밀착된 제목을 제시하고, 주제 형상화 능력도 높아간다. 이야기 내용 성향에서 현실적인 이야기와 비현실적인 이야기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비현실적 이야기에서 현실적인 이야기로 비중이 커지다가 두 성향의 이야기가 균형을 유지한다. 담론 수준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이야기 완결 능력은 상승하며, 이야기의 내용․주제와 관련된 주요 사건을 갖추어 간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건 간의 연속성이 높아가며, 전지적 초점화도 증가할 뿐 아니라, 초점화의 일관성도 증가한다. 평균 단문수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평균 단어수는 2학년이 가장 높고, 3학년, 1학년 순이며, 평균 복문수는 2학년이 가장 높고 3학년 1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소통 수준에서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독자가 느끼는 미적 감동은 높아졌다. 성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건의 진행(시간), 평균 단어수, 미적 감동 등이고 다른 준거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결과는 적은 표본에 근거한 것이므로 잠정적이다. 보다 광범한 조사를 통해 객관성을 높이는 것이 과제이다.

목차

국문개요
 Ⅰ. 머리말
 2. 서사텍스트 표현력 평가 준거에 대한 논의
  1) 이야기 구조
  2) 상상력
  3) 창의성
  4) 언어
 3. 서사텍스트 표현력 평가 준거 설정
 4.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분석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5. 연구 결과 및 해석
  1) 내용 수준 평가 준거
  2) 담론 수준 평가 준거
  3) 소통 수준 평가 준거
 4. 논의 및 결론
  1) 내용 수준 평가 준거
  2) 담론 수준 평가 준거
  3) 소통 수준 평가 준거
 ◆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경순 Lim, Kyung-soon. 한국외국어대 국어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