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에우다이모니즘에서 지ㆍ덕ㆍ복의 관계

원문정보

On the Relationship of Virtue to Knowledge and Eudainomia in Eudainonism

류지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udaimonism holds either that virtue(arete) is identical with eudaimonia or that virtue is its major component. This doctrine is the name given primarily to the ancient Greek doctrine, advanced by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But they had different views on the nature of virtue, its relationship to knowledge, and its relationship to eudaimonia. On the nature of virtue, Socrates argued that knowledge or wisdom was the essence of virtue. But Plato considered the right order and harmony of the divided mind or soul as the nature of virtue while Aristotle saw the excellence of human peculiar function, namely the excellence of reason as the essence of virtue. On the relationship of virtue to knowledge, Socrates argued that knowledge wa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to practice the virtuous (or good) actions, and therefore akrasia(weakness of will) was impossible. On the contrary, Plato and Aristotle argued that knowledge was not the sufficient but necessary condition to practice the virtuous actions, and therefore akrasia was possible. Especially Plato insisted that wisdom had to control the appetite(epithymia) in the aid of spirit(thymos) to realize the virtue of justice, the complete virtue. On the relationship of virtue to happiness(eudaimonia), Socrates and Plato proposed 'strong eudaimonism' that virtue was the sufficient condition to achieve happiness because virtue was completely identical with eudaimonia. On the other hand Aristotle advanced 'weak eudaimonism'. He argued that virtue was not sufficient condition but necessary condition for eudaimonia because we needed not only virtues but also external goods to achieve happiness. Socrates' 'strong eudaimonism' which held the doctrine of knowledge as the essence of virtue and the doctrine of identification of virtue with eudaimonia was mitigated by Plato's doctrine of the divided mind. Aristotle who succeeded and revised Plato's moderate strong eudaimonism established realistic 'weak eudaimonism' through the criticism against Socrates' ethical intellectualism and Plato's idealism.

한국어

덕은 행복과 일치하거나 아니면 행복의 중요 구성요소라고 주장하는 에우다이모니즘의 기본 명제는 소크라테스에 의해 최초로 전개되었으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덕은 그 자체로 보상받으며, 덕 있는 삶이 행복한 삶이라는 에우다이모니즘의 전통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 세 사람 사이에서도 덕의 본질, 지와 덕의 관계, 덕과 행복의 관계에 대해서 견해의 차이가 존재한다.
덕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덕의 본질을 지식으로 본데 비해서, 플라톤은 영혼의 각 부분이 자기 역할을 다하여 영혼이 질서와 조화를 이룬 상태를 덕의 본질이라 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인간의 고유한 기능, 즉 이성의 탁월성으로 이해한다. 지와 덕의 관계에 대해서도 소크라테스는 지를 덕의 필요․충분조건으로 보고 아크라시아의 가능성을 부정한데 반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크라시아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지는 덕의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본다. 플라톤은 지는 덕의 필요조건이기는 하지만 지혜만으로는 정의의 덕을 실현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지혜가 기개의 도움을 받아 욕구를 통제할 때 비로소 정의의 덕이 실현 가능하다고 보았다. 행복과 덕의 관계에 대해서는, 덕은 행복의 충분조건으로서 덕과 행복이 완전히 일치한다는 견해(강한 에우다이모니즘)와 덕은 행복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라는 견해(약한 에우다이모니즘)가 대립하고 있다. 전자에 따르면 행복에는 덕 이외의 다른 것들이 불필요하다. 후자에 따르면 덕은 행복의 가장 중요한 필수 요소이지만, 행복은 덕 외에도 다른 외부적 선들을 필요로 한다. 지․덕․복 일치론을 주장하는 소크라테스의 ‘강한 에우다이모니즘’은 플라톤이 도입한 영혼삼분설에 의해 ‘완화된 강한 에우다이모니즘’으로 변모되며, 다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주지주의와 이상주의를 탈각하고 현실주의적인 ‘약한 에우다이모니즘’으로 변화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소크라테스의 지ㆍ덕ㆍ복일치론과 강한 에우다이모니즘
 III. 플라톤의 영혼삼분설과 덕복일치론
 IV. 아리스토텔레스의 약한 에우다이모니즘
 V. 맺음말 : 지ㆍ덕ㆍ복의 관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지한 Lyou, Ji-Han. 동의대학교 철학윤리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