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uses of communication media on self-disclosure in adolescence. First, five dimensions of self-disclosure were distracted with factor analysis; intent to disclose, the amount of disclosure, the positive/negative nature of disclosure, the accuracy of disclosure, general depth/control of disclosure. The dimension ‘amount of disclosure’ wa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was related to two other dimensions. The others we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adolescents’ uses of four communication media (face-to-face, telephone, text messaging, and instant messaging) under three self-disclosure situations (when I talk secrets on myself, when I express my favorable feeling to friends, when I express complaints to my friends). The text media appeared as more favorable media for self-disclosure than the voice media. But the face- to-face communic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efficient tool for develop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한국어
소년들은 기존세대보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더 활발하게 사용한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자아노출 개념과 미디어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자아노출의 주요 변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자아노출을 행하는 세 가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네 가지 미디어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청소년들의 자아노출 요인분석은 ‘노출의 의도’, ‘노출의 양’, ‘노출의 긍정/부정의 속성’ ‘노출의 정확성’ ‘노출 깊이의 통제’ 등이 추출되었다. 자아노출에 대한 네 가지 미디어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 시도는 대체적으로 응답자들이 문자 미디어가 음성 미디어에 비하여 자아노출에 더 적절한 미디어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자 미디어가 실시간으로 직접 대화하는 것이 아닌 ‘일방적인’ 전달이므로 어색함이 덜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자메시지의 우위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기능할 때에 유효하다. 친구 관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의 미디어는 역시 면대면 대화가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다른 모든 미디어보다 우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2. 문헌 연구
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인간관계
2) 자아노출
3) 자아노출, 인간관계와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4) 연구문제 및 가설
3. 연구 방법
1) 자료의 수집
2) 주요 변인의 측정
4. 연구 결과
1) 기술적 통계
2) 연구문제 1 : 자아노출의 요인 분석
3) 연구문제 2의 검증 : 미디어 간의 자아노출의 차이
4) 연구문제 3의 검증 : 자아노출의 변인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이용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