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디오 피드백이 사회불안장애 집단의 사회적 자기상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self-image and to explore predictors of response to the video feedback in clients receiving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Eighteen college students diagnosed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were asked to perform their feared social tasks before a video camera in group sessions and were then shown the video of their performance.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with cognitive preparation, participants made significantly lower ratings of their social anxiety-related behavioral responses and negative performance aspects compared to the same ratings made prior to the video feedback, whereas their ratings of positive performance aspects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did not differ from those made before the video feedback. Initial frequency of safety behavio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ange on the rating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formance aspects following the video feedback.
Higher likelihood estimates of feared social outcome and more negative social self-concept at pre-treatment were each related to less improvement on the ratings of the positive performance asp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gative social self-image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can be effectively improved by video feedback.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로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고 있는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이 그들의 사회적 자기상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대학생 18명이 각 개인별로 사회공포유발상황에 대한 모의노출훈련에 참가하였으며, 인지적 준비 절차와 함께 그들의 수행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그 결과, 비디오 피드백을 받은 후에는 그 전에 비해 참가자들의 불안관련 행동적 반응이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자기지각 역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반면에,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 지각은 유의미하게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전에 측정된 안전행동의 빈도는 비디오 피드백 후의 수행에 대한 긍정적 및 부정적인 자기 지각의 변화 양자 모두와, 그리고 사회적으로 두려운 결과의 발생가능성 추정치 및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개념은 각각 비디오 피드백 후의 수행에 대
한 긍정적 자기 지각의 변화와 유의미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비디오 피드백이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받은 대학생들의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시사한다

목차

초록
 방법
  연구 대상 및 선발절차
  치료 프로그램
  비디오 피드백 절차
  측정도구
 결과
  예비 분석
  비디오 피드백의 치료효과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에 대한 예측변인: 탐색적접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